아토3 출고 지연에 계약취소 속출…이탈 고객, 어디로?
2025-03-28 15:04:27 | 김연지 기자 | helloyeon610@gmail.com
아토3, '환친차 고시' 등재 완료…보조금 확정·무공해 누리집 등재 남아
계약 후 2달 째 대기·4월께 인도 전망…푸조 e-2008 등 대체 모델 수혜
계약 후 2달 째 대기·4월께 인도 전망…푸조 e-2008 등 대체 모델 수혜
[미디어펜=김연지 기자]BYD의 소형 전기 SUV(스포츠유틸리티차) '아토3'가 출시 초기 큰 주목을 받았지만 출고 지연이 장기화되며 고객 이탈이 현실화되고 있다. 일부 소비자들은 계약을 취소하거나 타 브랜드의 실속형 전기차로 눈을 돌리는 모습이다. 특히 푸조의 e-2008 등 즉시 출고가 가능한 대체 모델들이 수혜를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3000만~4000만 원대 전기차의 국내 판매 비중은 2023년 12.5%에서 2024년 들어 32.8%까지 늘어났다. 불과 1년 만에 2.6배 증가한 수치로 전기차 시장이 '가성비'와 '실질 혜택'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
||
▲ BYD 아토 3./사진=BYD코리아 제공 |
이같은 흐름 속에서 BYD 코리아가 지난 1월 선보인 '아토3'는 시장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출시 일주일 만에 사건계약 1000대를 돌파하며 '가성비 전기 SUV'로서 성공적인 출발을 알렸다. 기본형 3150만 원, 고급형(플러스) 3330만 원이라는 가격도 주목을 받았다. 보조금 적용 시 실질 구매가가 2000만 원대 중후반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작용했다.
하지만 BYD 코리아가 당초 목표했던 2월 인도가 무산되면서 분위기가 반전됐다. 아토3는 전기차 인증 지연에 발목이 잡히며 고객 인도가 늦어지고 있다. 사전계약 물량은 현재 평택항에 발이 묶여 있는 상태다. 장기간 평택항 대기에 따른 품질 저하 우려에 더해 최근 중국 BYD 본사가 아토3 부분 변경 모델을 출시하면서 고객들의 원성이 더 커지고 있다.
현재 아토3는 지난 25일 산업통상자원부의 '환경친화적 자동차' 고시에 등재되며 첫 번째 절차는 통과했다. 하지만 환경부의 전기차 보조금 확정과 무공해차 누리집 등재 등 남은 절차가 아직 진행 중이다. 업계에 따르면 환경부 보조금 확정까지는 통상 4주, 이후 누리집 반영까지 1~2주가 소요돼 실제 차량 인도는 4월 중순 이후로 예상된다.
BYD 코리아가 사전계약 고객을 대상으로 차량 출고 시 30만 원 상당의 충전 크레딧을 제공하겠다며 고객 달래기에 나섰지만 길어지는 대기에 일부는 계약을 취소하고 다른 차량으로 눈을 돌리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아토3 출고 지연으로 인한 대기 고객들의 이탈이 늘면서 타 브랜드로 수요가 일부 전환되고 있다"며 "특히 3000만원 대 실속형 전기 SUV에 대한 문의가 많아진 상태"라고 전했다.
![]() |
||
▲ 푸조 e-2008./사진=스텔란티스코리아 제공 |
대표적인 사례가 푸조의 전기 SUV 'e-2008'이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e-2008의 2월 판매량은 27대에 불과했지만 현재까지 이달 계약 건수는 전월 대비 약 80% 급증했다. 계약 건의 87%가 아토3의 출고 지연 소식이 전해진 뒤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고객들이 출고 시기를 확정할 수 없는 아토3 대신 즉시 출고가 가능한 e-2008 등 실속형 전기차로 눈을 돌리는 것으로 분석된다.
e-2008은 1회 충전 시 최대 260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전비는 5.2km/kWh로 동급 최고 수준이다. 콤팩트한 차체에 내연기관 모델과 동일한 공간 구성, 도심형 주행에 최적화된 승차감 등 실용성을 강조한 모델이다.
트림은 '얼루어'와 'GT' 두 가지로 구성돼 있으며 각각 3890만 원, 4190만 원에 판매 중이다. 푸조는 최대 550만 원의 현금 지원 또는 60개월 무이자 할부를 제공하고 있다. 국고 및 지자체 보조금에 자체 프로모션까지 더하면 실질 구매가는 최대 2000만 원 중반까지 낮아진다. 울릉도 기준으로는 2604만 원에 e-2008을 구매할 수 있다. 지자체별 보조금에 따라 실 구매가는 달라질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인증 등 행정 절차 문제로 차가 제때 인도되지 않으면 수요는 빠르게 대체 모델로 이동할 수밖에 없다"면서 "보조금, 혜택, 즉시 출고 등 실질적인 메리트를 어떻게 선제적으로 대응하느냐가 전기차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는 캐즘을 넘기 위한 가격 현실화, 제품 다양화가 본격화되면서 실속형 전기차 시장의 경쟁도 갈수록 치열해질 전망"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