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항일 기자]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서울 아파트값이 가파를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경북과 대구 등 일부 지방은 냉기가 흐르고 있다.

특히, 최근 2년간 진행된 분양시장 활황 속에 새 아파트 물량이 쏟아진 일부 지방의 경우 입주에 들어가더라도 불꺼진 아파트가 상당수가 될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1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당 589만원으로 1년 전(549만원, 이하 ㎡당)에 비해 7.3%나 올랐다.

부산은 293만원으로 역시 1년 전(264만원)과 비교해 11%(29만원) 올랐고, 경기와 인천도 2∼4% 정도 상승했다. 

   
▲ 분양시장의 활기에 힘입어 전국의 주택시장이 호황을 누리는 가운데 서울 및 수도권, 부산 등 인기지역을 제외한 지방에서는 한파가 몰아치고 있다. 사진은 지난 3월 동탄2신도시에 분양한 한 견본주택 현장.

그러나 경북과 대구, 충북 등은 상황이 전혀 다르다. 

경북은 166만원에서 164만원으로 1년 새 1.2% 떨어졌고, 대구 매매가 역시 266만원에서 264만원으로 0.8% 하락했다. 

충북도 사정은 비슷해 182만원에서 181만원으로 소폭 하락했고, 광주와 울산·충남·경남·전북 등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아파트값이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이들 지역은 미분양 아파트까지 늘어나면서 이중고에 허덕이고 있다.

광주의 미분양 주택은 지난 3월 696가구에서 한 달 만에 1392가구로 2배로 늘어났고 충북도 같은 기간 4415가구에서 5755가구로 30.4%(1340가구) 증가했다.

경북도 7538가구에서 7472가구로 미분양이 줄기는 했지만 의미 있는 수치는 아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지역을 기반으로하는 중소건설사들의 시름도 깊어지고 있다. 부동산 정책이 규제로 돌아설 경우 주택시장 분위기가 더 위축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정부가 부동산 시장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시행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지역차별화 없이 획일적으로 적용할 경우 사실상 지방 주택 시장은 악순환을 피하지 못할 것"이라며 "주택시장의 특성상 지역경제 활성화로 직결되는 만큼 세분화 대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항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