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위, 네트쿼크·AI 이어 데이터 활성화 전략 심의·의결
[미디어펜=김영민 기자]정부의 4차 산업혁명 'D·N·A(Data-Network-AI)' 전략이 완성됐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26일 제7차 회의를 개최하고 '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 등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 제공=4차산업혁명위원회

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반인 초연결 지능화 인프라 구현을 위한 DNA전략의 데이터(D)에 관한 계획이다.

지난 제3차 회의에서 의결한 '초연결 지능형 네트워크 구축방안(N)'과 제6차 회의에서 의결한 '인공지능 R&D 전략(A)'에 이어 이번에 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이 의결됨에 따라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종합적인 DNA 대책이 마련됐다.

DNA 대책은 제조, 금융, 의료, 교통 등 사회 전반에 걸친 대변화의 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가 향후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먼저 개인정보 관련 법개정 없이도 바로 시행 가능한 '마이데이터(MyData)' 시범사업을 추진해 데이터 활요체계를 기관 중심에서 정보주체 중심으로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

올해부터 의료, 금융, 통신 등 분야에서 대규모 시범사업 실시, 국민 체감을 높여 건강증진·재태크·통신비절감 등 실질적 효과를 토대로 국민들의 인식을 전환하면서 제도화할 예정이다.

   
▲ 제공=4차산업혁명위원회

국민적 신뢰에 기반한 개인정보의 안전한 활용 제도화를 위해 4차위 해커톤에서 논의한 개인정보 관련 사회적 합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법 개정을 연내 추진한다.

또한 데이터 자체의 반출은 안되고 데이터 분석 및 AI 개발 결과만 반출하는 데이터 안심촌을 내년에 구축해 제공한다.

데이터 안심존은 이용자가 원격분석시스템에 접속해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가상PC 환경 및 다양한 분석SW 제공 등 온오프라인 샌드박스 개념의 형태다.

기술적인 측면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콘테스트, 데이터 보안성이 높은 블록체인, 동형암호 등 신기술 적용 및 실증을 올해부터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반인 산업별 실제데이터, AI 학습데이터를 전방위로 구축하고, 공공·민간 데이터의 획기적 개방을 추진한다.

산업별 원시 데이터의 풍부한 수집·생성을 위해 빅데이터 전문센터를 육성하고 각종 빅데이터센터간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할 계획이다.

국내 AI 산업의 비약적 발전을 위해 범용·전문 분야 AI데이터셋을 수요 중심으로 2022년까지 단계적 구축·보급한다.

이와 함께 글로벌 데이터산업 육성 기반 조성을 위해 2022년까지 선진국 기술수준 대비 90% 이상 수준의 빅데이터 선도기술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기술발전에 맞춘 핵심 원천기술개발을 추진하고 4차 산업혁명 요소기술(AI·IoT·클라우드.정보보호)과의 융합 선도기술 개발을 가속화한다.

데이터 산업의 미래수요에 대응하여 향후 5년간 청년고급인재, 실무인력 중심으로 5만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4차위는 데이터 산업 활성화로 2022년 국내 데이터 시장이 10조원 규모의 성장, 데이터 전문인력은 15만명 수준 확충, 기업의 빅데이터 이용률은 20%까지 높아지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장병규 4차위원장은 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과 관련 "4차 산업혁명의 핵심자원으로 불리는 데이터에 대한 우리의 현주소를 짚어보고, 이를 토대로 데이터의 산업적 가치창출을 획기적으로 이끄는 전략을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장 위원장은 또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는 개인정보 관련 법제도, 양질의 데이터 부족 등이 4차 산업혁명 확산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며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의 조화를 이끄는 제도적 변화, 데이터의 수집·저장·유통·활용의 전반적인 혁신, 글로벌 수준의 기술·인력·기업 육성기반 조성을 통한 데이터 이용의 패러다임 전환이 빅데이터 산업 경쟁력 강화에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데이터 산업 활성화는 개인정보의 안전한 활용이 전제돼야 하는 만큼 4차위에서 규제·제도혁신 해커톤을 통해 ‘개인정보보호와 활용간 조화’를 이해관계당사자들이 함께 논의해 기본 합의 틀을 마련한 것과 같이, 국민적 신뢰와 공감대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도 계속해 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미디어펜=김영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