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에 맞서는 야당 지도자 면모 갖출지 정치권 주목

패스트트랙 저지 투쟁 넘어 총선 주도 여부도 관심
[미디어펜=손혜정 기자]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단식 투쟁에 돌입한 지 27일로 8일째다. 황 대표의 건강 악화가 우려되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그의 목숨 건 단식 투쟁이 과거 야당 정치인들의 그것처럼 정치적 전환점을 이루고 야당 지도자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황 대표는 지난 20일 대국민호소문을 내 “무너지는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와 국가 위기를 막기 위해 국민 속으로 들어가 죽기를 각오하고 무기한 단식 투쟁을 시작하겠다”며 돌연 단식 농성에 들어갔다.

   
▲ 지난 26일 선거법과 공수처법 철회를 요구하며 청와대 앞에서 농성 중인 황교안 대표 / 사진=자유한국당


황 대표가 요구했던 세 가지 조건 중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지소미아)은 종료가 유예면서 일단락됐지만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법과 연동형 비례대표제 선거법 철회는 아직 요원한 상황이다. 이에 황 대표는 두 법안 철회가 관철될 때까지 “중단하지 않겠다”고 지난 25일 페이스북을 통해 의지를 표명했다.

과거 한국 정치사에는 야당 정치인들의 목숨을 건 단식 투쟁이 정치의 커다란 전환점을 이룬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으로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의 단식 투쟁사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1983년 야당 총재 시절 언론자유 보장, 민주인사 석방 등 이른바 민주화 5개항 수용을 촉구하며 단식 농성에 들어갔다. 김대중 전 대통령도 1990년 내각제 파기와 지방자치제 실시를 요구하며 식음을 전폐했다.

그 결과 김영삼 전 대통령은 가택연금 해제 조치를 시작으로 크게는 훗날 소위 민주화의 기폭제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김대중 전 대통령도 대통령제 유지와 지방자치제 실시 등 정국의 물꼬를 바꾼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를 계기로 양김의 역할이 보다 부각되었으며 야권의 정치지도자로서도 확고부동하게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둘은 결국 훗날 각각 14대, 15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황 대표도 야당 지도자로서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으로 현안 문제, 즉 패스트트랙 결사 저지에 몰두한 것으로 보인다.

물론 원외 인사로서의 한계를 감안했을 때 황 대표 단식만으로는 패스트트랙의 저지 가능 여부를 가늠할 수 없다.

그러나 황 대표 단식이 장기화됨에 따라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었고 이전에 그를 향해 제기되었던 리더십 부재 및 보수 통합에 대한 그의 지렛대 약화는 일단 불식된 상황이다.

황 대표를 향해 쓴소리를 가했던 김무성·김세연 의원, 김병준 전 비상대책위원장, 오세훈 전 서울시장, 이언주 무소속 의원, 홍준표 전 한국당 대표, 유승민 전 바른미래당 대표 등 범보수 인사들이 잇따라 농성장을 찾아왔으며 나경원 원내대표는 지난 24일 비상 의원총회에서 “황 대표를 중심으로 절대 단합”이라고 말했다.

   
▲ 지난 26일 황 대표의 단식 농성장을 방문한 유승민 전 바른미래당 대표 / 사진=자유한국당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단적인 패스트트랙 현안 문제 그 너머 황 대표가 향후 보수 통합과 야당 지도자로서의 주도권을 확립하는 데 이번 단식 투쟁이 기폭제가 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황 대표 단식 투쟁이 패스트트랙 저지에 영향을 미쳐도, 또 끝내 철회가 되지 않는다 해도 야당의 지도자로서 위상을 갖게 되면 단식의 소기 성과는 이룰 수 있다는 의미인 것이다.

단식 투쟁을 자양분 삼아 보수 통합에 다소 아쉬운 제스처를 보였던 황 대표가 야권 지도자로서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지, 그가 선언했듯 “자유민주주의 수호”에 어떤 정치적 전환과 결과를 낼지 정치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미디어펜=손혜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