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당 새 정강정책, 경제민주화·기본소득·양성평등 포함
2020-08-10 18:00:47 | 손혜정 기자 | mllesonja25@naver.com
10일 '마라톤 회의' 거쳐 10대 정책 마무리할 예정 "더 개혁적으로"
피선거권 연령 18세 하향 조정 방안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져
피선거권 연령 18세 하향 조정 방안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져
[미디어펜=손혜정 기자]미래통합당이 10일 경제민주화와 기본소득, 양성평등, 피선거권 만 18세 등의 내용을 담아 당의 새로운 정강정책에 들어갈 '10대 정책'을 확정할 예정이다.
통합당 정강정책특별위원회는 이날 오전부터 밤까지 약 11시간의 '마라톤 회의'를 통해 경제·환경·노동·사법개혁 등 제반 분야에 걸쳐 10대 정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10대 정책 분야는 ▲기회의 공정 ▲미래 경제혁신 ▲경제민주화 및 사회적 양극화 해소 ▲노동 ▲정부·정치개혁 ▲사법개혁 ▲환경 ▲복지 ▲양성평등 ▲외교·안보 등이다.
![]() |
||
▲ 김병민 통합당 비대위원 겸 정강정책특위 위원장./사진=미래통합당 |
아울러 10대 정책은 '민주화 정신'이 포함되는 새 정강을 토대로 만들어지며 분야별로 세부 과제가 총 20~30개로 추려져 추진될 예정이다.
나아가 특위는 피선거권 연령을 현행 만 25세에서 선거권과 같은 18세로 하향 조정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특위는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강조한 '사회적 약자와의 동행'에도 방점을 찍을 전망이다. '경제민주화'를 정책에 명기해 소득 및 자산의 양극화 현상에도 주목할 예정이며 '한국형 기본소득' 개념도 정책에 포함시킬 것이라는 전언이다.
이밖에도 주로 '진보' 진영에서 주력해왔던 '양성평등' 문제 역시 논의 대상이다.
김병민 특위 위원장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통합당이 비대위원회 출범 후 '뿌리부터 바꾸고 국민을 향한 정당이 되겠다'고 약속했다"며 "정강정책이 당의 정신과 가치, 비전, 방향, 정체성을 가진 부분이기 때문에 국민께 이념과 진보보수를 초월해 오로지 국가 공동체와 국민을 위한 정당임을 피력하는 첫 순서가 정강정책의 변화에서 시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사회적 약자와 손잡고 함께 동행할 수 있는 정당의 모습을 담아야 한다"면서 "환경과 여성 공동체를 위한 여러 의제에 있어 우리 당이 훨씬 더 개혁적인 모습을 보이는 작업이 정강정책 개정 작업에 녹았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특위는 오는 13일 당 비대위 회의를 거친 뒤 10대 정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미디어펜=손혜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