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 공식화
대출금리 1%포인트 오르면 이자만 12조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한국은행이 연내 금리 인상 시그널을 보내면서 1765조로 부풀어 오른 가계부채가 한국경제의 뇌관으로 지목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며 가계부채는 지난 1년간 154조원이나 급증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생활자금 외에도 부동산‧주식‧가산자산 투자 등을 위한 이른바 ‘빚투(빚을 내 투자)’ 열풍의 영향이 컸다.

   
▲ 사진=연합뉴스 제공.


1일 한은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765조원으로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후로 가장 큰 규모를 기록했다. 1년 전과 비교해선 153조6000억원(9.5%) 급증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부채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을 뺀 가계대출 잔액(1666조원)만 보더라도 사상 최대 규모다. 이는 전기 대비 34조6000억원 증가한 규모로 이 같은 증가세는 주택담보대출(20조4000억원)과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14조2000억원)이 견인했다. 특히 기타대출은 코로나19에 따른 생계자금 외에 부동산‧주식‧가상자산에 투자하기 위한 자금으로 활용됐다는 분석이다.

문제는 가계대출 증가속도가 심상치 않은 가운데 금리가 오를 일만 남았다는 데 있다. 이주열 총재는 지난 27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공식화했다. 이 총재는 그동안 금리 인상 여부에 대해서는 극도로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여왔던 터라 시장에서도 이례적이란 평가와 함께 금리 인상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왔다. 

대출금리가 오르면 당장 빚을 내 투자한 ‘빚투족’ ‘영끌족’을 포함한 저소득‧저신용자 등 취약계층의 이자 상환에 따른 경제적 타격이 불가피하다. 한은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를 때 가계대출 이자는 12조원에 달한다.

이 같은 상황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중앙은행 총재가 금리 인상 카드를 언급한 데에는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가계부채를 이대로 방치했다가는 한국경제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실제 이 총재는 “금리를 인상하면 가계 부담이 커지는 것은 불가피하지만, 가계 빚 증가세가 더 지속되면 부작용이 크고 그것을 다시 조정하려면 더 큰 대가를 지불해야 하므로 증가세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시장은 곧바로 반응했다. 지난 28일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일 대비 0.038%포인트 연 1.162%로 장을 마쳤다. 통상 채권금리가 오르면 대출금리의 지표인 금융채 등이 올라 결국 대출금리도 오르게 된다.

전문가들은 금기 인상 충격에 따른 취약계층이나 자영업자 등을 중심으로 한 취약계층의 부채로 인한 부실화가 현실화될 수 있는 만큼 정부에서 이제부터라도 이에 따른 출구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권의 관계자는 “금리 인상 여부에 대해 극도로 말을 아껴왔던 한국은행 총재가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해 공식적으로 언급한 데는 그만큼 가계부채가 한계 수위에 도달했다는 의미”라며 "금리가 인상되면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한 부채 리스크가 현실화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정부의 종합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