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절기 석탄 비축해야 하는데 재고 연중 최저...연말로 갈수록 가중될 우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최근 중국이 '10년 만에 최악의 전력난'에 직면했다.

전력 수요의 전년대비 증가율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미래(탈탄소)와 현실(전략난) 사이에서 '진퇴양난'에 빠진 모습이다.

각 지방정부의 탈탄소를 위한 무리한 핵심성과지표(KPI) 맞추기와, 연료용 석탄 수급 악화가 주요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철강, 알루미늄 등 에너지 고소비 업종에서부터 사료, 섬유, 완구 등 다양한 업종의 많은 기업들이 당국의 전기 공급 제한으로 정상 조업을 못하고 있다.

   
▲ 중국의 석탄화력발전소/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중국의 31개 성과 직할시 중 20여 곳이 지난달 중순부터 공장에 전기 공급을 줄이거나 아예 끊는 '전기 배급'에 나섰고, 랴오양 등 '동북3성'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는 산업용 전력 뿐 아니라, 가정용 전력 공급까지 단절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PKI 목표에 미달한 8개 성에서의 전력대란이 극심한 실정이며, 전통 대기업과 대형 기업이 더 큰 피해를 입고, 또 다른 공급부족 사태를 야기하는 악순환 양상이다.

중국은 전력난 해소에 충분한 발전 설비를 보유하고 있지만, 문제는 연료탄 수급이 문제다.

화력발전 기업의 연료탄 가용일수가 급감하고 있으며, 동절기 석탄 비축을 늘려하는 시기에 오히려 재고는 연중 최저 수준까지 줄어, 연말로 가면서 전력난은 더욱 가능될 가능성이 높다.

조철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탈탄소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감산 조치로 인해 타이트한 석탄 수급난은 수년 간 이어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화력발전 설비 가동률을 높이면, 연초에 탈탄소를 위해 세운 '에너지 소비 이중 통제'(에너지 사용 총량과 강도 통제)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게 되고, 석탄 공급을 늘리려면 안전사고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데, 이 또한 기존의 정책 방향과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또 "중국의 탈탄소 목표 달성과 전력 공급 사이의 갈등은 향후 수년 간 지속될 전망"이라며 "대규모 감산과 전력 단가 인상은 철강, 비철금속, 시멘트 등 다양한 제품의 가격 변동성 확대로 이어질 것이며, 이에 따른 중국의 저가 제품 수출 감소는 글로벌 공급망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진수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전력대란은 '정책 실수'에서 온 '인재'이자, 에너지 구조전환을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라며 "그 원인은 두 가지 에너지 통제정책과 공급을 상회하는 전력수요"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전기요금 인상 허용 가능성과 유틸리티 업종 발전단가 부담 해소가 전망된다"면서 "천연가스 가격은 더 탄력적으로 움직이고, '스마트그리드' 구축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