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말 대비 작년 3분기 GDP 대비 가계부채비율 10.0% 올라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우리나라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전후로 한 가계부채비율 상승폭이 주요 선진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제금융센터와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한국을 포함한 30개 선진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비율은 지난 2010년 이후 하락세였으나, 2019년 말 73.0%에서 지난해 1분기에 78.4%로 상승했다가 3분기에는 76.35로 다소 내렸다.

가계부채 규모는 2019년말 35조 1000억 달러에서, 작년 2분기 및 3분기 모두 38조 1000억 달러로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비율이 2019년 말에서 2021년 3분기 사이 10.0%포인트 올라, 30개국 중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 은행창구/사진=미디어펜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지난해 3분기 현재 1845조원으로 GDP의 91.3%에 달하고, 처분가능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200.7%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129.7%보다 훨씬 높다.

한국에 이어 스위스 9.2%포인트, 뉴질랜드 6.8%포인트, 스웨덴 6.3%포인트의 순이다.

이는 코로나19로 감소한 가계소득을 빚으로 때웠고, 재난지원금·실업급여 등 공적보조가 다른 선진국보다 적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이에 더해, 이 기간 집값이 급등하면서 빚을 얻어 집을 사고, 주식에 투자하는 경향이 더해졌다.

공적보조가 많았던 미국과 일본은 3.1%포인트 상승에 그쳤고, 독일이 4.4%포인트였다.

32개 신흥국 중에서는 같은 기간 이 비율 오름폭이 태국이 8.7%포인트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말레이시아 5.5%포인트였다. 

중국은 5.0%포인트, 브라질이 3.3%포인트, 러시아가 3.2%포인트였다.

이에 대해 박승호 국회예정처 경제분석관은 "시장금리가 상승할 경우 채무부담이 증가, 가계 소비가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며 "가계부채 등 우리 경제의 잠재적 위험요인에 대한 점검과 선제적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