팍스로비드 대상자이지만 미처방 사례 잇달아
확진자 폭증 및 한정 물량 주된 원인으로 분석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들이 자택에서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는 알약 형태 치료제 '팍스로비드' 공급이 혼선을 빚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수요가 급증한 데 따른 현상으로 분석된다.

   
▲ 화이자의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가 약국에 배송된 모습./사진-보건복지부 제공

22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달 21일부터 40대 이상 기저질환을 가진 코로나19 환자에게 팍스로비드를 처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기저질환자의 기준은 당뇨, 심혈관 질환(고혈압 등), 만성 신장 질환, 만성 폐 질환(천식 포함), 암, 과체중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확진자 중 처방 대상 기준에 충족하더라도 팍스로비드 처방으로 이어지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서울 노원구에 거주하는 심 씨(60)는 평소 만성 폐질환을 앓다가 지난 15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지만, 팍스로비드를 처방 받지는 못했다. 심 씨는 "보건소에서 연락을 받고 종합감기약과 체온계, 산소포화도 측정기만 수령했다"고 말했다.

서울 강남구에 거주하는 김 씨도 마찬가지다. 접종완료자이면서 60대 이상 고위험군(고혈압·당뇨)으로 분류되면서 병원에 팍스로비드 처방을 요청 했으나 해당사항이 없다는 입장만 전달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현장에서 처방에 혼선을 빚는 이유는 팍스로비드의 한정적 공급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기저질환자라도 긴급하게 처방이 필요한 환자를 우선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설명이다. 실제로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14일 첫 투약이 시작된 후 약 5주 간 국내에 들어온 팍스로비드 3만1870명분 중 단 27.9%만이 실제 투약으로 사용됐다.

또 팍스로비드의 1인 치료 가격은 약 530달러(63만 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국산 치료제가 시급한 또 다른 이유이기도 하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치료제 주권 확보를 통해 원활한 물량 공급은 물론 정부가 치료제 처방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는 체제를 만들어주는 게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일동·대웅 등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잰걸음

국내에서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한창인 기업은 셀트리온, 일동제약, 대웅제약 등 모두 12곳이다. 

셀트리온은 변이 바이러스에도 대응할 수 있는 흡입형 칵테일 코로나19 항체치료제 연구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임상 1상 시험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또 보스니아·세르비아·북마케도니아 등 3개 국가에 흡입형 칵테일 항체치료제 임상 3상 임상시험계획(IND) 제출도 완료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흡입형 코로나19 치료제가 상용화된다면 재택 치료를 받는 환자들의 편의성이 대폭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일동제약은 지난해 11월 일본 시오노기제약과 경구용 치료제 후보물질 'S-217622' 공동개발 계약을 맺고 식약처로부터 임상 2/3상 계획을 승인받았다. 현재 국내 24개 의료기관에서 임상을 진행 중이다.

대웅제약도 만성췌장염 치료제인 카모스타트를 코로나19에 적용하는 약물재창출 방식으로 경증 및 중등증 환자 대상 임상 2·3상, 중증 환자 대상 3상을 진행하고 있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경증 환자 대상으로 하는 임상 3상 시험 진행 여부를 두고 식약처와 협의 중이다"며 "중증 환자 대상 임상 3상은 환자 모집과 투약을 동시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신풍제약은 말라리아 치료제 '피라맥스'를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하는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피라맥스는 신풍제약이 2011년 개발을 완료한 4세대 말라리아 치료제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