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미충원인원 전년대비 70.2% 증가... 구인난 심화 우려도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국내 기업들의 올해 2, 3분기 채용 계획 인원이 지난해보다 약 50% 이상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동시에 기업들의 미충원인원도 증가하면서 인력난 심화 우려도 나온다.

   
▲ 고용노동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고용노동부(이하 고용부)는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상반기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올해 국내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올해 2, 3분기 채용 계획 인원이 65만명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43만1000명보다 21만9000명이 증가한 수치다.

이 조사는 인력 수급 불일치 해소를 위해 기업의 구인·채용·부족인원, 채용계획인원 등을 조사하는 것으로, 그동안 상용직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했으나, 올해부터는 종사자 1인 이상으로 그 범위를 확대했다.

하지만 상용직 5인 이상 사업체 기준으로도 올해 2·3분기 채용 계획 인원은 43만2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29만7000명)보다 13만6000명이 늘어 45.7% 증가했다. 

권태성 고용지원정책관은 기업들의 채용 계획 증가에 대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등 일상회복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코로나19로 인해 채용 계획 인원을 축소한 데 따른 기저 효과도 작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구인인원은 133만30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3만7000명(22.3%) 증가했으며, 채용인원은 112만8000명으로 16만5000명(17.2%) 증가했다.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전년동기대비 구인인원 증가율이 21.2%이며, 채용인원 증가율이 16.9%인 점을 감안하면 상용근로자 5인 미만 사업체에서 구인·채용 활동이 상대적으로 활발히 이뤄진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구인 및 채용인원이 많은 산업은 제조업,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건설업 순으로 나타났고, 전년동기대비 구인 및 채용인원이 증가한 산업은 제조업과 함께 숙박·음식점업, 도·소매업 등과 같은 대면서비스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종별로 분석해 보면 구인 및 채용인원이 많은 직종은 전 산업에 걸쳐서 수요가 있는 경영·행정·사무직과 함께 영업·판매직, 음식·서비스직과 같이 대면서비스 관련 직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관과 비교해 보면 구인 및 채용인원이 증가한 직종은 건설·채굴직, 음식·서비스직, 경영·행정·사무직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사업체 규모별로는 상용근로자 300인 미만 사업체는 구인인원이 11만60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0만2000명(22.1%) 증가했고, 채용인원은 95만2000명으로 13만4000명(16.3%) 늘었으며, 상용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체의 구인인원 및 채용인원은 각각 3만5000명(23.3%), 3만1000명(21.8%) 늘었다. 

즉 규모가 큰 사업체가 구인인원 및 채용인원의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업체의 구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채용하지 못한 1분기 미충원인원은 17만40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7만2000명(70.2%) 증가했다.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 기준에서도 13만2000명으로 4만8000명(57.9%) 늘면서, 기업의 구인난이 심각함을 보여줬다. 

   
▲ 권태성 고용지원정책관이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상반기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사진


산업별로 살펴보면 미충원인원이 많은 산업은 제조업 5만8000명, 운수·창고업 2만2000명, 도·소매업 1만8000명 순으로 집계됐고, 미충원율은 운수·창고업이 47.9%, 제조업이 28.6%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미충원인원이 가장 많은 직종은 운전·운송직과 함께 산업 전반에 걸쳐 수요가 있는 경영·행정 ·사무직, 영업 ·판매직, 그리고 제조업 관련 제조단순직, 기계설치·정비·생산직 등으로 조사됐다. 

미충원 사유를 분석해 보면 '임금수준 등 근로조건이 구직자의 기대와 맞지 않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23.7%로 가장 많았으며, '사업체에서 요구하는 경력을 갖춘 지원자가 없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19.0%로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인력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채용비용을 증액하거나 구인방법의 다양화', '임금 인상 등 근로조건 개선' 등의 노력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권 정책관은 이같은 인력난 현상에 대해 “지난해보다는 인력 부족이 큰 건 사실이지만, 회복 과정에서의 현상으로 보인다”면서도 “일부 직종은 인력 부족이 심각해 정부에서 여러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인력난에 따른 임금 인상 압력 작용 여부를 묻자 “상황을 지켜봐야 될 것 같다”고 짧게 답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