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제조업 재고지수 18.0% 증가, 26년만에 최고 증가폭
지난해 하반기부터 생산-출하 ‘디커플링’…수출전략·내수 진작책 필요
[미디어펜=조한진 기자]#경상남도 소재 석유정제업체 A사는 최근 늘어나는 재고 때문에 채산성 악화에 시달리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정제마진 회복으로 큰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A사는 유가 상승에 대비하기 위해 원유 구매량을 늘리고 설비가동률도 높이는 등 경기 회복에 대비해 왔는데, 올해 상반기 이후 경기침체 위험이 커지면서 수요가 줄어 재고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기업 재고가 대외변수에 따른 일시적 조정이 아닌 본격적인 경기침체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6일 ‘기업 활동으로 본 최근 경기 상황 평가’ 자료를 발표하고 “지난 2분기 산업활동동향의 제조업 재고지수 증가율(계절조정 전년동기비)이 18.0%를 기록해 분기별 수치로는 지난 외환위기 직전인 1996년 2분기(22.0%) 이후 26년만에 가장 높은 증가폭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 부산신항 전경/사진=부산항만공사 제공

대한상의는 “재고는 경기 변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늘어나고 줄지만 최근 재고 증가 흐름은 지난해 2분기를 저점으로 4개 분기 연속 상승하는 이례적인 모습”이라며 “이처럼 분기 기준으로 장기간 재고지수가 상승세를 보인 것은 2017년 이후 4년만에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지난해 2분기 대기업의 재고지수 증감률이 -6.4%에서 올해 2분기에는 22.0%로 치솟았으나, 중소기업의 경우 1.2%(’21년 2분기)에서 7.0%로(’22년 2분기) 상대적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다.

대한상의가 한국평가데이터에 의뢰해 매분기 재무제표를 공시하는 제조업체 상장기업(약 1400여개)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대기업의 재고자산은 지난해 2분기 61조4770억 원에서 올해 2분기 89조1030억 원으로 증가해 중소기업 재고자산의 증가분(7조4370억 원→9조5010억 원)을 압도했다. 제조업 전체로는 지난해 2분기 대비 올해 2분기 재고자산이 39.7% 증가했다.

대한상의는 보고서에서 최근 재고가 급격하게 늘어난 것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코로나19 특수 대응 차원에서 공급을 늘렸고 △국제유가·원자재가격 급등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들이 원자재를 초과 확보해 제품 생산에 투입한데다, △글로벌 공급망 차질로 인해 제품 출하가 늦어진 것이 기본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단기적인 이슈들인 만큼 글로벌 수요만 받쳐준다면 곧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업들이 기대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대한상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발발, 글로벌 인플레이션, 미국의 지속적인 금리 인상 등으로 글로벌 수요 기반이 급격하게 위축되고 있다는 것이 문제”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를 반영하듯 제조업 생산지수와 출하지수는 4개 분기 연속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주목할 부분은 출하의 감소폭이 생산 감소폭보다 더 커 생산-출하간 디커플링(격차)이 계속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통상적으로 판매(출하)가 줄어들면 제품이 쌓이고(재고), 기업들이 이에 맞춰 생산을 감소시켜 생산-출하가 비슷한 추세를 보이게 된다. 그러나 최근의 생산지수-출하지수 디커플링은 오히려 확대되는 모습이다.

이는 기업들이 판매(출하) 부진에도 불구하고 생산을 탄력적으로 조정하지 못하고 오버슈팅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2분기 말부터 기업들이 일부 생산을 조절하고 있으나 재고가 이미 높은 수준이라 3분기부터는 생산 감소가 본격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대한상의는 내다봤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가용 가능한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 정부가 최근 무역수지 개선, 중장기 수출경쟁력 강화 지원 등 수출 종합 전략을 발표한 만큼 이를 조속히 실행해야 한다”며 “기업의 채산성 악화가 생산 감소, 고용·투자 위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규제·노동·금융·교육 등 구조개혁을 통해 고비용 구조를 개선해 나가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