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안기금 지원 연장'도 고려…실제 효과 여부는 의견 엇갈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최근 들어 더욱 위태로워진 국내 주식시장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금융당국이 증권시장안정펀드(증안펀드),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 등의 가동을 추진한다. 아울러 정부는 올해 말로 기한이 만료되는 기간산업안정기금(기안기금) 지원 기간을 1년 추가 연장하는 방안까지 고려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수준의 ‘총력대응’이 시작되는 셈이다.

   
▲ 국내 주식시장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금융당국이 증안펀드‧채안펀드 가동을 추진한다. 사진은 KB국민은행 여의도 본점 딜링룸 모습. /사진=KB국민은행


18일 정부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시장이 불안에 대응하기 위한 증안펀드가 금주 중 재가동 준비를 완료할 것으로 보인다. 증안펀드는 금융지주·보험사·증권사 등 금융사들이 조성하는 10조원에 한국거래소·한국예탁결제원 등 유관기관이 마련한 7600억원을 더한 10조7600억원이 시장에 투입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국내증시 안정을 위해 증안기금이나 펀드가 조성되는 것은 이번이 다섯 번째다. 당국이 최근의 급락장을 ‘위기’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코스피 2000선 붕괴’ 같은 상징성을 갖고 있는 지지선이 무너지면 공매도 금지와 증안펀드 투입 등이 본격화되는 시나리오가 가능해 보인다.

아울러 시장 안팎에선 증안펀드 효과 극대화를 위해 펀드자금을 본격적으로 투입하기 전에 ‘공매도 한시적 금지’ 조치가 다시 내려질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증안펀드 투입과 공매도 금지가 병행돼야 하는 이유는, 공매도가 가능한 상태에서 증안펀드 자금이 투입될 경우 일시적 반등 이후 주가 재하락을 겨냥한 공매도 주문이 몰리면서 주가가 다시 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공매도 금지조치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최근 외국인 자금이 11거래일 연속 국내 증시에서 순매수세를 나타내며 긍정적인 흐름을 나타내고 있는데, ‘글로벌 스탠다드’에 어긋나는 공매도 금지는 자칫 외인 자금을 차단하는 효과를 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미 국내 증시는 작년 5월부터 코스피 200·코스닥 150 종목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공매도가 허용되고 있다.

한편 정부는 2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 안정펀드를 통해 회사채와 단기자금시장 안정을 함께 지원할 전망이다. 채안펀드는 지난 2020년에 최대 20조원 규모로 증액된 채안펀드는 회사채·기업어음(CP) 등을 매입해 자금 경색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정부는 기간산업안정기금(기안기금) 지원 기간을 1년 추가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안기금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항공·해운 업종 등 경영위기에 빠진 기간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20년 5월 말에 총 40조원 규모로 조성됐다. 원래 지원기한은 작년 말까지였으나, 코로나19 확산세를 고려해 지원한도를 10조원 규모로 조정하고 올해 말까지 1년을 연장한 상태였다.

기안기금 지원 연장까지 이뤄질 경우 정부는 현재의 증시 불안에 ‘코로나19 팬데믹’ 수준으로 대응하는 셈이 된다. 그러나 그 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기도 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증안펀드의 경우 심리적인 효과는 있겠지만 실제 투입 자금은 코스피 전체 시가총액 대비 1%가 안 되는 금액”이라면서 “공매도 전면금지의 부작용이 오히려 더 클 수도 있다는 부분을 감안해야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