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민서 기자] 여성 퀴어의 삶을 다룬 연극 ‘이것은 사랑이야기가 아니다’가 오는 7월 무대에 오른다.

연극 ‘이것은 사랑이야기가 아니다’ 측은 8일 "오는 7월 6~21일 국립정동극장_세실에서 공연한다"며 "인터파크 티켓과 국립정동극장 홈페이지에서 예매 가능하다"고 밝혔다. 

   
▲ 8일 연극 '이것은 사랑이야기가 아니다' 측은 오는 7월 6~21일 국립정동극장_세실에서 공연한다고 밝혔다. /사진=국립정동극장 제공


이 작품은 2007년부터 2099년까지 100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대한민국에서 퀴어로 살아가는 두 여성의 삶의 궤적을 쫓는다.

국립정동극장 2023 시즌 '창작ing' 사업의 다섯 번째 작품이다.

작품은 지난 해 서울국제공연예술제(SPAF) 과정공유 선정작으로 대중과 평단의 호평을 받았다. ‘서울 도심의 개천에서도 작은발톱수달이 이따금 목격되곤 합니다’의 연출로 지난 해 동아연극상 작품상과 연출상을 수상한 이래은 연출가와 연극 ‘사라져, 사라지지마’로 여성 생애사를 주목한 도은 작가가 사라지지 않고 끝까지 살아남는 퀴어 여성 이야기를 탄생시켰다. 

작품의 주인공은 2000년에 태어난 재은과 윤경이다. 두 사람이 처음 만난 2007년부터 단짝 친구에서 연인으로, 연인에서 가족으로 살아가며 2099년까지 긴 시간을 통과하는 과정을 그려낸다. 미래와 현재, 과거를 넘나들며 여러 사건을 펼쳐냄으로써 삶의 단면을 다채롭게 포착한다. 

작품은 밀레니엄 세대인 2000년생 여성과 아직 오지 않은 세대인 2035년생 여성을 중심으로 과거를 조명하는 동시에 미래를 상상하는 스토리로 캐릭터들의 감정을 섬세하고 사실적으로 다룬다.

여성 퀴어 커플의 일상적인 면모와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는 현실, 평범한 레즈비언 연인의 모습 등 일상적인 에피소드를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이들의 삶과 가족의 모습을 그려낸다. 현실적이면서도 감각적인 작품의 대사는 작품의 매력을 배가시킨다. 또한 무대 위 우주를 상징적으로 표현해 미래에 대한 감각을 깨워 작품의 몰입도를 높인다. 

여기에 보아의 '아틀란티스 소녀', 엄정화 '엔딩 크레딧(Ending Credit)' 등 여성 가수들의 음악을 통해 시대상을 직접적으로 드러내 현실에 맞닿은 이야기임을 강조함과 동시에 신선한 재미를 더한다.

지난 해 서울국제공연예술제 당시 리딩공연에 참여했던 배우들이 동일하게 참여해 더욱 깊이 있는 감정선을 기대하게 한다. 2022, 2023년 국립극단 시즌 단원으로 활동 중이며, ‘앨리스 인 베드’, ‘이갈리아의 딸들’에 출연했던 김시영, ‘여기는 당연히, 극장’의 단원이자 ‘햄버거 먹다가 생각날 이야기’, ‘우리는 농담이 (아니)야’ 등의 작품에서 활약한 김효진, 극공작소 마방진의 단원이자 ‘조치원, 새가 이르는 곳’, ‘노생거 수도원’ 등에서 안정적인 연기를 선보였던 정다함이 무대에 오른다.

7월 6일부터 13일 공연에는 대사와 소리 및 음악 정보, 그림 기호 등이 표기된 한글 자막을 제공한다. 또한 오는 7월 3일부터 예매 페이지를 통해 작품 개요, 무대 의상 등 시각적 정보가 담긴 음성파일을 공유해 관객들이 편하게 접근할 수 있을 관람환경을 조성한다. 여기에 창작진이 참석하는 관객과의 대화 이벤트를 진행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이번 관객과의 대화 이벤트 또한 실시간 문자 통역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래은 연출은 “관객이 감각할 수 있도록 무대언어, 배우, 무대, 의상, 음향, 조명 등 요소들이 서로 반응하며 생동을 발생시키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디어펜=김민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