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상일 기자] 인명피해 부르는 타워크레인 사고가 끊이지 않고 발생해 관련자에게 책임을 물어야 하지 않겠느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 16일 인천의 오피스텔 신축현장에서 높이 40m의 타워크레인이 넘어져 전철 선로를 덮친 사고 등 크레인 안전사고가 잇따르면서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
|
|
▲ 지난 16일 인천의 오피스텔 신축현장에서 높이 40m의 타워크레인이 넘어져 전철 선로를 덮친 사고 등 크레인 안전사고가 잇따르면서 전문가들은 안전점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점을 문제점으로 꼽았다./자료사진=MBC 화면 캡처 |
전날 사고에서 크레인이 넘어져 공사현장의 작업자 3명이 다쳤고 평일 기준으로 1일 평균 62만 명이 이용하는 경인선(인천역∼구로역) 전철 승객들은 인천역∼부천역 구간 전철 운행이 7시간가량 전면 중단돼 퇴근길 교통지옥을 겪어야 했다.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인 경찰은 일단 규정대로 크레인이 설치됐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크레인 하부 기초공사 부실이나 자체 구조 결함 등 다양한 가능성을 확인하고 있다.
해당 크레인 회사 대표는 "크레인 설치와 관련해 작업지시서 성격의 시방서를 규정에 맞게 작성해 건설회사 측에 줬다"며 "그쪽(건설회사)에서 하부 기초공사를 부실하게 한 것 같다"고 경찰에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앞서 발생한 타워크레인 안전사고들은 강풍에 넘어진 자연재해 성격의 사고를 제외하면 상당수가 안전불감증에서 비롯된 전형적인 인재였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특히 공사현장에서 전문 크레인 회사들이 운용하는 타워크레인에 대한 안전점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점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일례로 2013년 5월 목포의 아파트 공사현장에서 대형 크레인이 넘어지면서 작업자 2명이 40여m 아래 바닥으로 추락해 숨지고 3명이 다쳤다.
또 지난해 5월에는 수원의 주상복합 신축현장에서 크레인이 넘어져 작업자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하는 등 크레인이 넘어져 사망자가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줄지어 일어나고 있다.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크레인 안전사고가 되풀이되자 사고 발생 시 관련자와 업체에 대한 제재 수위를 높일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