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 간판을 분석해본 결과 순우리말(고유어)로 쓰인 것은 10개 중 1개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우리말 연구 학회인 외솔회는 김진희 한남대 교양융복합대학 강사가 지난 8월 20일∼9월 15일 경기도 수원시 성균관대역 일대 간판 608개의 자료를 수집해 표기실태를 분석한 결과 고유어를 사용한 간판은 72개(11.8%)뿐이었다고 밝혔다.
가장 많은 204개(33.6%)가 외래어로 돼 있었고, 혼용어 192개(31.6%), 한자어 140개(23.0%)가 뒤를 이었다.
혼용어 중 고유어와 한자어의 조합은 100개, 고유어와 외래어의 조합은 36개, 한자어와 외래어의 조합은 47개, 고유어·한자어·외래어의 조합은 9개로 집계됐다.
업종별로 보면 교육·문화업종의 간판은 한자어와 외래어 비율이 각각 31.3%로 가장 많았다. 고유어는 12.0%에 그쳤다.
의료는 한자어 비율이 59.5%로 가장 많았고, 외래어 16.2%, 고유어 13.5% 등의 순이었다.
의료·미용·액세서리는 외래어 비율이 각 75.0%·47.5%·38.5%로, 고유어 비율(0%·10.2%·15.4%)을 크게 압도했다.
술집은 외래어 비율이 54.8%로 고유어(7.1%)의 8배, 다방은 외래어 비율이 73.2%로 고유어(12.2%)의 6배, 오락은 외래어 비율이 50.5%로 고유어(6.3%)의 8배에 달했다.
다만 식당은 외래어와 고유어의 비율이 각각 17.0%와 18.0%로 비슷한 대신 고유어와 한자어를 조합한 혼용어 비율이 38.1%로 가장 많았다.
이와 같은 내용의 논문 '간판 상호 언어의 실태에 대한 고찰'은 569돌 한글날(10월 9일)을 기념해 오는 8일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리는 외솔회 주최 '제7회 집현전 학술대회'에서 발표된다. [미디어펜=이상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