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26일 "미국 관세조치로 통상환경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면서 "미국과는 협의를 지속하기로 했으며, 우리 기업 관세 대응 지원과 수출시장 다변화를 촉진하겠다"고 했다.

   
▲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사진=연합뉴스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수출지역담당관회의'를 열고 지역별 수출상황과 리스크를 점검하며 이같이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올해 1~2월 누적 수출은 4.8% 감소한 1016억 달러를 기록했다. 대미국 수출은 반도체(15억2000만 달러, 49%)가 증가했으나, 자동차(49억9000만 달러, -11%)·일반기계(21억1000만 달러, -27%) 수출이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4.3%(192억1000만 달러) 감소했다. 

대중국 수출은 석유화학(29억1000만 달러, 3%)·무선통신기기(12억 달러, 42%)에서 늘었다. 반면 반도체(61억 달러, -15%) 수출이 감소하며 전년 동기 대비 8.0% 감소한 187억 달러를 기록했다.  

대아세안 수출은 반도체(52억3000만 달러, 34%)·석유제품(28억2000만 달러, 3%) 등이 증가하며 전체적으로 5.3% 늘어난 181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대EU 수출(102억5000만 달러, -10%)은 자동차(14억5000만 달러, 8%)에서 증가했으나, 일반기계(9억3000만 달러, -12%)·선박(10억6000만 달러, -28%) 등 수출이 줄며 전체적으로 감소했다.

정 통상본부장은 "미 신정부가 지난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상품에 대한 관세 조치를 시행한데 이어 다음 달에는 상호관세 부과도 예정돼 있어 통상환경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산업부 장관 등 방미를 계기로 상호관세를 비롯한 미국의 무역 관련 조치계획에 대한 우리 입장을 충분히 설명했고, 관세·비관세 관련 협의를 지속하기로 했다"고 했다. 

이어 "미국 관세 조치가 주요 수출지역에서의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이어지는지 여부를 면밀히 점검하겠다"며 "지난달 발표한 범부처 비상수출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우리 기업들의 관세 대응을 지원하고, 글로벌사우스 지역을 중심으로 수출 시장 다변화도 촉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