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대규모 투자 밝혔지만 관세 시행 시점에서 피해 불가피
미국에 이점 어필하며 쿼터제 적용 기대해야…한국 정부 대책 마련 시급
한국GM, 대미 수출 비중 높아 직접 타격↑…내수 판매 활성화 대안
[미디어펜=박재훈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외에서 생산되는 자동차 수입 시 25%의 관세 부과를 공식화하면서 국내 완성차 업계에도 지대한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미국 현지 투자를 늘리는 등의 대안을 검토 중이나 당장 악영향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2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가 할 일은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고 있는 모든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며 관세 행정명령을 공식화했다. 

이는 앞서 관세를 카드로 미국 현지 투자를 늘리겠다는 구상을 실현한 것이다. 25%의 관세는 현재 미국이 수입 자동차에 부과하고 있는 2.5%의 관세 대비 10배 규모다. 부과 시점은 상호 관세와 동일하게 4월 2일이다.

한국이 미국에 수출하는 자동차 수출 규모는 347억4400만 달러 (약 50조9381억 원)로 전체 자동차 수출 중 절반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한다. 지금까지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에 따라 전략적인 수출이 가능했으나 이번 관세 조치로 빨간 불이 켜진 상황이다.

이번 관세 정책이 시행되면 전문가들은 전체 수출액이 약 20% 감소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던 현대차그룹은 △현대차 1조9000억 원 △기아 2조4000억 원 등으로 각각 영업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그룹은 앞서 관세 정책 조치에 대응으로 미국 내 생산 비중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정의선 현대차그룹회장은 지난 24일(현지시간) 2028년까지 미국에서 자동차, 부품 및 물류, 철강, 미래 산업 등 주요 분야에 210억 달러(약 30조8100억 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또한 금일 준공식을 개최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생산능력을 30만 대에서 50만 대로 확대하고 루이지애나주에는 전기로 일관 제철소 건설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영향이 갈 수 있는 부분에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일자리 창출 등의 이점을 활용해 트럼프 행정부에 친화적인 전략을 펼치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관세에서 유리한 경쟁국가가 발생할 경우에 장기적으로 점유율이 하락할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겠다는 것이다.

다만 현지투자를 확대했음에도 시기적으로 관세가 부과되는 시점과 생산시설 확충 및 시설 건립에서 격차가 있는 것이 문제다.

   
▲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전경./사진=현대차그룹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부 교수는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100만 대 조금 넘는 판매량을 기록했고 미국 생산을 늘리겠다고 했으나 계획이 완성되기까지는 2~3년 이상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이 문제"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이처럼 생산능력 확대와 같은 강조할 수 있는 부분을 내세워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이 교수는 "생산능력 확대와 일자리 같은 부분을 지속 강조하면서 공장 완공까지 쿼터제를 요구하는 방식을 통해 관세 충격을 조금씩 완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앞서 정의선 회장이 언급했듯 한 기업의 노력이 아닌 정부 차원에서의 도움도 절실한 상황이다. 당장 계획을 밝힌 현대차그룹은 전략을 가속화하고 수출 시장의 다변화를 물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그룹 외에도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GM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한국GM은 전체 생산량 중 80~88%가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어 관세에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된다. 지난해 한국GM의 총 판매량 49만9559대 중 41만8782대는 미국으로 수출됐다.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에서 한국GM의 가격 경쟁력이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한국GM은 소형 SUV 위주의 가격에 민감한 차종(트랙스 크로스오버, 트레일블레이저)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시장 다변화는 물론 내수 판매 활성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내수 판매 차종을 확대하거나 부평과 창원 공장의 생산 차량을 내수 시장에 우선 배정하는 방안도 해결책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교수는 "관세 카드가 (한국GM)에게 철수의 명분이 될 수 있어 지켜봐야 할 부분"이라며 "만일 한국GM까지 철수하게 된다면 국내 자동차 사업의 생산 기반이나 근로자들의 고용문제는 상당히 악화될 수 밖에 없어 정부 차원에서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박재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