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관세 폭탄에 美 틱톡 인수 반대…틱톡금지법 추가 유예
2025-04-05 11:16:34 | 이보라 기자 | dlghfk0000@daum.net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미국 기업들이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 지분을 확보하는데 제동이 걸렸다.
![]() |
||
▲ 상호관세 발표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제공 |
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이 안보 우려가 제기된 틱톡의 미국 사업 지분을 미국 기업들이 확보하는 협상안을 마련했으나 상호관세에 반발한 중국의 반대로 일단 무산됐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일 틱톡의 미국 사업을 새로운 미국 법인으로 분사한 뒤 미국 투자자들이 그 법인의 지분 절반 이상을 보유하고,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는 소수 지분만 보유하는 틱톡 인수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중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후 다음날 틱톡 모회사인 중국 바이트댄스 대표들이 백악관에 연락해 중국 정부가 미국과 무역과 관세에 대해 협상할 수 있을 때까지 틱톡에 대한 거래를 승인하지 않기로 했다고 알려왔다.
트럼프 행정부는 그전까지 중국 규제 당국이 틱톡 인수안을 승인할 것으로 확신했다고 AP는 설명했다.
중국이 틱톡 매각안을 미국의 상호관세와 연계해 반대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일단 이른바 '틱톡금지법'의 시행을 75일간 추가로 유예했다.
미국 연방 의회는 중국 바이트댄스가 미국인 개인정보를 대규모로 수집하는 등 국가안보를 위협할 우려가 있다며 지난해 4월 이른바 '틱톡금지법'을 제정했다.
이 법은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을 기한 안에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 사업을 금지하는 내용으로 당초 지난 1월 19일 시행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대선 때 젊은층 공략에 '틱톡 효과'를 크게 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20일 취임 직후 이 법의 실질적 집행을 4월5일까지 75일 연기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