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8조, 신한 10조5천억, 하나 6조3천억 긴급 지원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주요 금융지주들이 미국의 상호관세의 영향으로 경영난에 빠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조(兆) 단위 긴급 수혈에 나선다.

   
▲ 주요 금융지주들이 미국의 상호관세의 영향으로 경영난에 빠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조(兆) 단위 긴급 수혈에 나선다./사진= 각 사 제공.


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그룹은 계열사인 KB국민은행을 통해 총 8조원 규모의 금리우대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의 금리 부담 완화를 위해 '영업점 전결 금리우대 프로그램'을 기존 1조5000원에서 3조원으로 늘린다. 국가 주력전략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 등을 위한 '한시 특별 금리우대 프로그램'도 3조원에서 5조원으로 확대한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 총 230억원을 특별 출연해 8400억원 규모의 보증서를 공급할 계획이다. 담보력과 신용도가 취약한 혁신성장기업, 수출기업 등은 3년간 보증비율 100% 우대 협약보증서를 발급받거나, 최대 1.5%포인트(p) 이내의 보증료를 지원받을 수 있다. 자동차 관련 업체에는 신용보증기금과 업무협약을 맺고 총 1500억원 규모의 저금리 동반성장 상생 대출을 신속히 공급할 방침이다.

신한금융은 국내 수출기업을 포함한 중소기업·소상공인을 대상으로 10조5000억원 규모의 선제적 금융지원에 나선다. 기업금리 우대 프로그램에 6조4000억원을 지원한다. 수출기업 등에 3조원 규모의 특별 금리 인하도 시행한다. 또 소상공인 신규 대출 지원을 위해 신용보증재단에 특별 출연을 통해 5000억원을 지원하고, 수출기업 등 중소기업 신규 대출 지원을 위해 신용보증기금에도 특별 출연을 통해 6000억원을 공급한다.

앞서 하나금융은 지난 3일 중소기업·소상공인을 대상으로 6조3000억원 규모의 긴급 금융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기존 '주거래 우대 장기대출'을 3조원으로 증액하고, 3조원 규모의 '금리우대 대출'을 추가 지원한다. 또 자동차 부품업체의 운전자금 지원을 위해 신용보증기금과 240억원 규모의 신규 보증협약을 이달 체결하고, 업종별 핀셋 지원 방안도 추가로 마련할 계획이다.

우리금융은 전날 임종룡 회장 주재로 '상호관세 피해 지원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관세 충격이 큰 수출입기업을 최우선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앞서 우리금융은 지난 4일 미국 상호관세 부과에 대응해 지주와 은행의 전략·재무·기업·리스크 등이 참여하는 '상호관세 피해 지원TF'를 발족했다.

임 회장은 이날 회의에서 "현시점부터 즉각 비상경영체제로 전환하고 금융당국의 정책 기조와 대응 방향에 적극 협력해 달라"며 "현장에서 직접 파악한 기업고객들의 구체적인 애로사항과 니즈를 기초로 실효성 있는 지원방안을 수립해 달라"고 당부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