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V, 2030년 25만 대 판매…PV5부터 단계적 출시
EV 대중화 본격화…EV2~EV5까지 라인업 구축
5년간 42조원 투자…EV·SDV 중심 미래사업 확대
[미디어펜=김연지 기자]기아가 2030년까지 글로벌 연간 판매 419만대를 달성하고 전 세계 시장 점유율 4.5%를 확보하겠다는 중장기 청사진을 공개했다. 핵심 성장축은 전기차(EV), 목적기반차량(PBV), 픽업트럭 3개 분야다.

기아는 9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전동화 전략을 비롯한 중장기 성장 전략 '플랜 S 2030'을 공개했다. 

송호성 사장은 "자동차 시장의 급변하는 흐름 속에서 내실을 강화하고, 전략을 지속 실행해 미래차 시장에서 선도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 송호성 기아 사장이 '2025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기아의 중장기 사업 전략과 재무 목표 등에 설명하고 있다./사진=기아 제공


기아는 2025년 322만 대, 2027년 375만 대에 이어 2030년에는 419만 대 판매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는 지난해 발표한 430만 대에서 11만 대 줄어든 수치다. 친환경차 비중은 2025년 28%(89만7000대)에서 2030년 56%(233만3000대)로 확대한다. 전기차는 126만 대, 하이브리드는 107 만대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지역별 판매 목표는 북미 101만 대, 유럽 77만 대, 한국 58만 대, 인도 40만 대 등으로 선진국과 신흥시장의 균형 성장에 방점을 뒀다.

전기차 라인업은 올해 기준 9종에서 2030년 15종으로, 하이브리드 포함 내연기관은 23종에서 17종으로 축소해 전동화 비중을 끌어올린다.

기아는 EV3, EV4, EV5 등 대중형 모델을 앞세워 전기차 진입장벽을 낮추고, 2026년에는 엔트리급 모델인 EV2도 출시한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전기차 126만 대를 판매할 계획이다.

또한 전기차 원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차세대 배터리와 전자 아키텍처 개발, 소프트웨어 고도화 등을 추진하고, 초고속 충전 인프라도 국내 1만3000기, 북미 5만 기, 유럽 1만7000기 이상 구축한다.

생산은 지역별로 분산해 공급을 최적화할 방침이다. 국내는 전동화 개발 허브로, 미국은 중대형 SUV·픽업, 유럽은 소형 SUV, 인도는 전략형 소형 SUV를 주력으로 생산한다.

기아는 PBV 사업을 통해 글로벌 LCV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올해 7월 출시 예정인 PV5를 시작으로 2027년 PV7, 2029년 PV9을 차례로 선보인다. 2030년까지 유럽 13만 대, 한국 7만 대, 기타 지역 4만5000대 등 총 25만 대 판매를 목표로 한다.

오토랜드 화성에 신설되는 전용 공장을 통해 연간 20만 대 생산체계를 갖추고, 글로벌 기업 100여곳과 협업해 승객·물류·유틸리티 등 다양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기아는 지난해 공개한 정통 픽업 모델 '타스만'을 연내 한국과 호주 등 신흥시장에 출시하고, 연간 8만 대 판매를 기대하고 있다. 북미에는 신규 플랫폼 기반의 전동화 픽업을 도입해 9만 대 판매, 7% 점유율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

전동화 픽업은 실내·적재 공간, 토잉 시스템, 오프로드 성능, 인포테인먼트 등에서 최고 수준의 상품성을 갖추게 된다.

기아는 2029년까지 5년간 총 42조 원을 투자한다. 이 가운데 19조 원을 전동화(67%),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9%), 로보틱스·AAM(도심항공교통) 등 미래 사업에 집중 투입할 예정이다.

올해는 글로벌 시장에서 322만대를 판매하고, 112조5000억 원의 매출과 12조4000억 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해 영업이익률 11%를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미디어펜=김연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