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고이란기자] "회계분식은 없었다"

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야에 대해 실사결과를 발표했지만 손실반영을 합리적으로 추정했는지는 더 지켜봐야 할 문제라며 여지를 남겨 논란이 예상된다. 결국 대우조선해양의 대규모 손실 원인 파악은 금융감독원으로 공이 넘어갔다.

29일 산업은행 이사회는 대우조선해양의 경영정상화 지원방안을 의결하고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기자간담회를 통해 산업은행은 3개월의 실사를 통해 본사와 주요 자회사의 경영실태를 분석하고 처리방안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 29일 산업은행 이사회는 대우조선해양의 경영정상화 지원방안을 의결하고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 /사진=고이란기자

산은은 금감원에 대우조선 실사 결과를 제출할 예정이다. 금감원이 실사결과 등을 검토해 향후 대우조선에 대한 감리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은은 대규모 부실의 근본 원인은 조선업 장기 불황 국면에서 무리한 경영활동을 지속하고 경영관리가 취약했던 데에 주요한 원인이 있다고 판단했다.

외형 유지를 위해 역량이 부족함에도 해양플랜트에 대한 무리한 수주활동을 전개했고 해외 자회사에 대한 부적절한 투자와 사후관리가 실패했다고 분석했다.

또한 선주사 신용도에 대한 검증 없이 무분별한 신용제공(장기매출채권)과 적극적인 회수의 노력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전 경영진에 대해서는 채권단이 부실 경영 책임, 실행예산 관리, 자회사 부실 등에 대해서 철저히 조사한 후 검찰 고발 등의 조치를 취할 계획이며 법률적으로 판단해 민사상 경영진의 손해배상도 청구할 예정이다.

현재 감사원이 산은의 대우조선해양 관리 실태를 감사 중으로, 감사결과에 따라 위법·부당행위 발견시 감사원이 산은의 관리 책임도 엄중히 물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향후 산은, 수은, KEB 하나은행, 농협으로 구성된 합동 경영관리단을 운영해 재무 상황은 물론 자구계획 이행 상황, 경영계획 달성 정도 등 경영 정상화 이행상황도 철저히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필요시 외부 컨설팅 업체의 진단을 실시해 회사 운영시스템 전반에 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방안도 추진·검토할 방침이다.

정용석 산업은행 기업구조조정 본부장은 “두 회계 법인이 실사를 통해 살펴본 결과, 대우조선해양이 부실을 은폐하기 위해 회계를 조작했다고 볼 수는 없지만 발생 가능한 손실 반영을 합리적으로 추정하는데 중대한 과실과 고의가 있었는지는 조금 더 살펴봐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산은의 관리감독 책임과 관련해 “방대한 회사에 CFO 등 일부 직원을 파견했다고 부실을 조기에 인식하고 차단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대규모 손실은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도 마찬가지로 발생한 부분이며 지난 2008년 조선3사가 해양플랜트 진출한 이후 유가하락 등의 돌발변수로 인해 발생한 상황이다”고 하소연했다.

아울러 “경영 책임과 관련해 지난 9월 남상태 전 사장을 수사의뢰했으며 나머지 경영진도 검토 중이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