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소규모 상가건물 임차현황' 공개…임차료는 약국이 가장 비싸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소규모 상가에 입점한 '생활밀접업종' 사업장 가운데 음식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장 임차료는 약국이 가장 비싸게 내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에서는 강남구에 있는 사업장의 임차료가 가장 비쌌다.
◇ '생활밀접업종' 3곳 중 1곳은 식당
4일 국세청이 내놓은 '소규모 상가건물 임차현황' 자료를 보면 2012∼2014년 상가 임대차 확정일자를 신청한 23만45건 가운데 25개 생활밀접업종으로 분류된 것이 61.8%인 14만2238건이다.
업종별로 보면 일반음식점이 5만94건으로 가장 많고 학원(1만4852건), 부동산중개업소(1만2716건)가 뒤를 이었다.
생활밀접업종은 1층에 위치한 사업장이 65.5%를 차지했고 2층 이상은 28.3%, 지하는 5.6%다.
1층을 가장 선호하는 업종은 편의점으로, 전체 매장의 93.5%가 1층에 있다.
정육점(91.1%)과 패스트푸드점(89.2%)도 1층에 자리잡는 비율이 높았다.
학원(86.0%), 당구장(81.6%), PC방(73.0%) 등은 2층 이상에서 영업하는 경우가 많았다.
노래방의 50.6%는 지하층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생활밀접업종의 평균 사업장 면적은 79.6㎡(약 24평)로 나타났다.
당구장(202.0㎡·61.1평), PC방(186.5㎡·56.4평), 노래방(147.7㎡·44.7평) 순으로 매장이 컸다.
반면에 부동산중개업소(41.5㎡·12.6평)의 평균 면적은 당구장의 5분의 1 정도로 좁았다.
옷가게(45.8㎡·13.9평), 세탁소(52.3㎡·15.8평)도 비교적 협소했다.
계약 유형별로 보면 생활밀접업종은 월세계약이 93.4%로 대부분이었고 전세는 6.6%에 불과했다.
편의점(97.0%)·일반주점(95.9%)·커피숍(95.6%)의 월세계약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식료품가게(81.9%)·실내장식가게(89.6%)은 낮았다.
평균 계약기간은 749일(약 2년1개월)이었다. 편의점(1069일)·슈퍼마켓(928일), 자동차수리점(834일) 순으로 길고 인터넷쇼핑몰(588일)·부동산중개업소(692일)는 상대적으로 짧았다.
◇ 한 달 임차료, 약국이 141만원으로 최고…서울에선 '강남' 상가가 제일 비싸
생활밀접업종 사업장의 2012∼2014년 평균 환산임차료(보증금을 월세로 계산한 것)는 한 달 평균 업소당 100만7253원이었다.
업종별로는 약국이 141만5000원으로 가장 비싼 임차료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점(126만4000원)과 제과점(124만1000원)도 높은 편이었다.
임차료가 가장 싼 것은 꽃가게로, 약국의 절반 수준인 78만6000원이었다.
세탁소(82만원), 실내장식가게(83만3천원)도 임차료 부담이 적은 편이다.
단위면적당 임차료 기준으로도 약국이 가장 비쌌다. 약국은 ㎡당 2만3483원이었고, 그다음이 제과점(2만2381원), 부동산중개업소(2만500원) 순이었다.
당구장은 ㎡당 5810원에 불과했고 PC방(6593원), 노래방(7140원)도 싼 축에 속했다.
층별로는 1층 임차료가 ㎡당 평균 1만9263원이었다. 지하층은 1만999원, 2층 이상은 9750원이었다.
서울의 사업장당 임차료는 강남 지역에서 월등히 높았다.
강남구에서는 매장 한 곳의 임차료가 평균 182만7000원이었다. 인접 지역인 서초구도 168만3000원으로 비쌌다. 마포구가 158만6000원으로 3위에 올랐다.
그러나 ㎡당 임차료는 중구(3만2252원), 종로구(2만8589원) 등 강북 도심지역이 더 높았다. 강남구는 2만8071원으로 3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