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지난해 6월 준공한 부산 금융중심지 허브인 63층짜리 부산국제금융센터(BIFC)가 어느새 부산의 랜드마크로 부상했다.

하지만, 애초 목표한 국내외 금융기관과 금융기구 집적화 단지인 '국제금융센터'라고 부르기엔 아직까지 뭔가 허전한 모습이다.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 등 부산 이전 공공기관을 포함해 24개 기관이 현재 입주했지만, 국제금융센터라는 이름과 어울릴법한 해외 금융기관은 한곳도 없기 때문이다.

국제금융센터뿐만 아니라 부산에서 금융중심지 지정 이후 진출한 해외금융기관이나 금융기구를 현재로선 찾아보기 어렵다.

5일 부산시 등에 따르면 2009년 금융중심지 지정 이후 지금까지 많은 예산을 들여 매년 수차례씩 해외금융기관 유치를 위한 해외 홍보(IR) 활동을 전개했지만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2009년 1월 부산을 국제적인 해양·파생분야 특화금융 허브로 육성한다는 비전 아래 금융중심지로 지정했다.

이후 부산시는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과 합동으로 2010년 5월 독일, 노르웨이, 프랑스, 영국 등지를 방문해 유럽지역 금융기관 유치 활동을 개시했다.

2010년 11월에는 일본, 2011년에는 영국과 독일, 미국, 2012년에는 호주와 영국, 2013년에는 영국과 중국, 2014년에는 방문해 해외금융기관의 부산 진출을 노크했다.

올해도 지난 6월 영국과 노르웨이, 지난 9월 홍콩과 싱가포르, 중국 등지를 찾아 현지 금융 관련 전시회 또는 금융포럼에 참가하거나 각 금융기관을 개별 방문했다.

하지만, 현재까지 부산시 등의 유치 활동과 노력의 결과물은 몇몇 해외금융기관과 맺은 양해각서가 전부다.

지난 5월과 6월 부산시와 양해각서를 맺은 독일 노르드은행(HSH NORDBANK), 노르웨이 DNB은행 등 여러 은행이 부산 투자에 대한 관심은 드러냈지만, 실제 부산 진출에 대해선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부산을 중심으로 한 금융시장 규모가 크지 않고, 부산 금융중심지 특화 비전인 해양·파생금융시장 역시 아직 걸음마 단계이기 때문이다.

국제금융기구인 자금세탁방지 국제기구 교육연구기관이 내년 6월 부산에 근거를 마련할 계획이었지만, 이 역시 정부의 국비 지원 계획이 국회 예산안 심사과정에서 삭감돼 현재로선 내년 설립이 불투명한 실정이다.

지난 9월 영국 Z/Yen이 글로벌 금융도시(GFCI) 평가 결과를 발표하면서 부산 금융중심지의 미래 발전 가능성을 세계 3위라고 평가한 것이 현재로서는 유일한 위안거리이다.

한편, 부산시는 내년 3월에도 금융감독원과 중동지역 해외금융기관 유치를 위한 IR에 나설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