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사물인터넷(IoT)을 새로운 먹거리로 삼고 2017년까지 2500여억원을 투자한다. 이로 인해 사물인터넷 분야에서만 40만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

정부는 또 위성방송과 IPTV가 합쳐진 융합 방송 서비스의 도입을 촉진하고 5세대(5G) 이동통신의 세계 최초 상용화를 추진한다.

정부는 최근 정부세종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6차 정보통신 전략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정부는 사물인터넷의 초기 성공 사례를 배출하고자 제조·의료보건·에너지·가정·자동차 및 교통·도시 안전 등 6개 전략분야에 내년부터 2년 동안 1300억원을 투자해 시제품 개발 및 상용화를 지원한다.

사물인터넷는 가구·차량·산업설비 등에 무선통신 센서를 붙여 건강관리나 생산 공정 최적화 같은 새 서비스를 창출하는 기술로 큰 관심을 끌고 있지만, 지금껏 마땅한 수익 창출 모델은 없는 상태다.

정부는 574억원을 들여 사물인터텟 센서 공정 등 관련 기술의 개발을 활성화하고 국내 기술 표준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물인터넷의 정착에 필요한 보안기술의 개발을 돕고 사물인터넷 혁신센터, 사물인터넷 오픈랩 등 지원 시설을 구축하는 기반 작업에도 628억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2020년까지 사물인터넷 산업이 대폭 성장하면서 국내 생산유발이 57조원, 부가가치유발 13조원, 고용유발은 42만명에 달하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정부는 내다봤다.

스마트폰, 가전, 전기자동차 산업이 특히 주목하는 무선충전 기술과 관련해서는 2017년부터 도서관과 우체국 등 공공시설에 무선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공격적 연구개발(R&D)로 무선충전 기술의 국제 표준화를 주도하고 무선 전력 전송의 주요 걸림돌인 전자파 우려에 대처하고자 인체 보호 기준을 마련키로 했다.

통신 인프라와 관련해서는 5G 이동통신을 세계에서 가장 빨리 상용화하고 지금보다 100배 이상 빠른 10Gbps 유선 인터넷망을 구축키로 했다.

정부는 무선 충전 산업을 키워 2020년까지 세계 무선전력전송 시장의 30%를 점유해 5조6천억원의 매출을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봤다.

또 국내 통신 인프라를 대폭 개선하며 장비 구축 등의 수요가 크게 늘어 생산 유발 81조원, 부가가치 55조원의 효과가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두 영역이 계획처럼 성장하면 고용 유발 효과는 무선 충전 3만명, 통신 인프라 47만6000명으로 모두 50만6000명의 새 일자리가 나올 것으로 예측된다고 정부는 전했다.

정보통신 기술 영향이 큰 유선방송 분야에서도 규제 개편이 이뤄진다. IPTV망을 일부 써 가구별 접시 안테나를 없앤 '하이브리드' 위성 방송인 DCS 등 융합 서비스의 도입을 장려하는 게 골자다.

DCS는 2012년 KT스카이라이프가 선보였지만 '법령에 없는 변칙 기술'이라는 판정으로 운영이 중단됐다가 지난달 미래창조과학부의 임시 허가를 받아 3년 만에 서비스가 재개됐다.

케이블 방송 유선망 내의 주파수 이용 제한도 완화해 사업자가 자율적 판단에 따라 효율적으로 주파수 대역을 쓸 수 있게 한다.

정부는 제1차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기본계획(2016~2018년)을 확정해 공공 부문의 클라우드 사용률을 2018년까지 30% 이상으로 올리고 금융·의료 등의 규제를 풀어 민간의 클라우드 도입을 지원키로 했다. [미디어펜=김세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