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KDB대우증권을 품게 된 미래에셋증권이 여신전문금융업법(이하 여전법) 개정안의 국회 논의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개정안이 통과되면 여신전문금융사인 미래에셋캐피탈이 보유한 미래에셋증권 지분 일부를 처분하거나 미래에셋캐피탈의 증자가 불가피하게 된다. 대우증권 인수를 계기로 아시아를 대표하는 글로벌 투자은행(IB)으로 도약하겠다는 미래에셋의 구상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원회에 계류중인 여전법 개정안은 여신전문금융사의 계열사 출자총액을 자기자본의 100% 이내로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100%를 초과하면 개정안 통과 이후 5년 안에 초과 지분을 처분하거나 100% 이하가 되도록 증자 등을 통해 자기자본을 늘려야 한다.

미래에셋캐피탈은 지난 9월 말 장부가 기준으로 미래에셋증권 지분 38%(시가 6724억원)와 미래에셋생명 지분 19%(1천693억원)을 보유하고 있다. 미래에셋캐피탈의 자기자본(5903억원) 대비 150% 수준이다.

미래에셋캐피탈이 유상증자를 한다면 지분 48.69%를 보유한 최대주주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의 개인 돈을 투입해야 한다.

초과 지분을 매각할 경우에는 미래에셋증권이나 미래에셋생명에 대한 지배력이 약해질 수 있다. 만일 초과 지분 해소를 위해 매각한 주식이 비우호 세력에 넘어가면 적대적 인수합병(M&A)에 노출되는 상황을 맞게 된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 측은 여전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더라도 미래에셋증권에 대한 지배구조 약화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입장이다.

미래에셋증권 지분을 처분하기보다는 증자나 미래에셋자산운용과의 합병 등으로 대처하는 카드가 유효하다는 이유에서다.

미래에셋은 그러나 여전법이 원안대로 통과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정무위원 등을 상대로 전방위 로비전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여전법이 개정되면 미래에셋은 유예 기간 내 적법한 상태로 지배구조를 개편할 것"이라면서도 "다만, 과도한 규제 때문에 지배구조 개편에 돈을 쓰기보다는 글로벌 투자에 쓰는 게 합리적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