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화 위해 저수익·중복 등 점포 통폐합...탄력점포는 확대 검토

[미디어펜=정단비 기자] 최근 은행들이 저수익 점포나 중복 점포 등 점포 통폐합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탄력 점포는 확대를 계획하고 있어 오히려 늘어날 전망이다.
 
   
▲ 은행권들이 고객들의 편의 향상과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탄력점포 확대를 고려중이다.SBS 뉴스화면 캡처.
 
2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민은행, 농협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 시중은행들은 내년 점포 통폐합을 시행해 100여곳 이상의 은행 점포들이 문을 닫게 될 예정이다.
 
최근 대학가를 중심으로 있던 출장소 21곳을 정리한 국민은행은 내년 23곳 정도를 줄일 계획이다. KEB하나은행의 경우 하나은행과 외환은행 통합으로 중복되는 점포 등을 통폐합할 것을 고려하고 있다. 또한 농협은행은 20여곳, 우리은행은 30~40곳 등 점포 통폐합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처럼 은행들은 운영 효율화를 위해 수익성이 저조하거나 중복된 지역에 있는 점포 등의 점포들을 통폐합하려하고 있다.
 
특히 모바일, 인터넷 등을 이용해 은행업무를 보는 고객들이 늘어나면서 굳이 점포를 찾으려는 고객들이 줄어들고 있는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반면 시중은행들은 거래 기관과 고객 편의를 위해 영업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탄력 점포의 경우 확대할 것으로 검토하고 있다.
 
은행들은 일반적으로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운영하지만 일부 점포에 한해 주말·휴일에 운영하거나 평일에도 4시 이후의 늦은 오후까지도 운영을 하는 탄력 점포들도 운영중이다.
 
지난 10월 말 기준으로 은행권이 운영중인 탄력점포는 12개 은행 약 536개로 전체 점포수 7297개 대비 약 7.3% 수준이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농협은행이 250개로 가장 많고 뒤이어 신한은행 74, 우리은행 54, 대구은행 39, 부산은행 33, KEB하나은행 20, SC은행 16, 국민은행 12, 기업은행 12개 등이다.
 
주로 지자체·법원 등 관공서 소재 점포가 총 447개로 83.4% 비중을 차지, 거의 대부분에 해당한다. 공단 지역 외국인근로자 특화점포 6.9%(37), 상가 또는 오피스 인근 점포 6.7%(36), 공항·기차역 등의 환전센터 3.0%(16) 등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처럼 오피스 밀집지역, 지자체·법원 등 관공서 등에 입점되어 있는 탄력점포를 통해 고객들은 주중 오후 4시 이후나 주말, 휴일에도 긴급히 필요한 은행업무를 볼 수 있다.
 
은행권들은 이같이 고객들의 편의를 높이고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탄력점포를 확대해 갈 것을 고려중이다.
 
국민은행은 내년 중으로 주중 퇴근 시간대인 오후 6시경 직장인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대상으로 영업시간을 연장 운영하는 탄력점포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KEB하나은행은 외국인근로자가 밀집된 공단과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주중 및 일요일에 운영하는 탄력점포 확대를 검토 중이며 SC은행의 경우 주부와 가족 단위 고객들이 많이 찾는 대형마트, 백화점을 접점으로 주중과 주말 운영하는 탄력점포를 내년 중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그 외 우리은행, 농협은행 등도 구체적인 일정이나 계획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탄력점포 운영확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최근 수익성이 떨어지고 모바일 등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많아지면서 효율화를 위해 점포 통폐합을 하는 것"이라며 "반면 탄력점포의 경우 아직 몇 곳이나 언제까지 늘리겠다는 구체적인 방침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현재 운영중인 곳에 특히 주말에는 많은 사람들이 몰리는 등 필요로 하는 수요가 있어 운영을 검토,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같은 탄력점포 운영에 대해 회의적인 시선들도 존재한다. 탄력점포를 운영하려면 우선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것은 물론이고 비대면 인증 등으로 인해 점차 점포를 방문하려는 고객이 줄어가는 마당에 탄력점포를 한다고 해서 수요가 어느정도가 될지 의문이라는 점 때문이다.
 
다른 은행업계 관계자는 "탄력점포를 운영하려면 시간외로 일하는 것이기 때문에 직원들의 시간외수당이 지급되는 등 여러가지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데 과연 그 비용을 들일 만큼 수요가 있는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더구나 최근에는 각종 규제가 풀리면서 비대면 인증 등으로 내점을 해야만 가능했던 업무들이 모바일, 인터넷 등을 이용해 가능해지고 있는 추세인데 무작정 탄력점포를 늘리는 것은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