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재현 기자] 뒷통수 맞은 북한의 4차 핵 실험은 우리 금융시장에 큰 파장을 미치지 못했다. 과거 북한 도발에 따른 학습효과 때문이다. 그러나 잔잔한 호수에 돌을 던져 파장이 일듯 리스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들의 대북 추가 제재가 진행되면 당분간 지정학적 위험이 지속될 전망이다. 또 하나의 불청객인 중국 증시 급락과 결합하면서 금융시장의 투자심리를 끌어내릴 수 있다는 우려가 터져 나온다.

   
▲ 금융위원회는 지난 7일 오전 김용범 사무처장 주재로 금감원, 국제금융센터, 한국거래소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금융시장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금융위원회
8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 6일 오전 10시30분 북한 양강도 지역에서 인공지진이 감지됐다. 북한 조선중앙방송은 2시간 후인 12시30분 특별 중대보도를 통해 첫 수소탄 실험이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이번 수소탄 성공은 민족사적 사변이며 핵보유국 반열에 올랐다고 평가했다. 이번 실험은 지난 2006년 10월(규모 3.9, 1kt, 플루토늄 이용) 2009년 5월(규모 4.5, 3~4kt, 플루토늄 이용), 2013년 2월(규모 4.9~5.1, 6~7kt, 고농축 우라늄 이용)에 이어 네번째 핵 실험이다.

정부는 북한의 4차 핵실험을 강력히 규탄하고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추가적인 제재를 포함한 모든 조치치를 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미국은 백악관의 내부적 분석 결과를 통해 북한이 수소폭탄 실험에 성공했다고 보기 어렵다면서도 한국-일본과 우호적 동맹관계를 지켜나가 도발수위에 따라 강력 대응할 것을 천명했다.

일본 아베 총리는 "북한의 핵실험이 자국안보에 위협이며 이를 용인할 수 없다"며 북한의 행동에 대해 강력한 대응을 밝혔다. 중국은 외교부 대변인을 통해 북한의 수소탄 실험에 강력한 유감을 발표한 가운데 중국은 당연히 해야 할 국제사회 의무를 이행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유엔은 기존 안보리 결의 위반임을 강조하며 새로운 추가제재 마련에 착수했다.

북핵 변수는 금융시장에 일시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오히려 7일에는 중국 이슈에 한층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6일 외환시장은 원·달러 환율은 9.9원 상승했다. 7일에도 2.7원 상승해 1200.6원에 마감했다. 북한 영향은 일시적인데 반해 위안화가 큰폭 절화되면서 환율 상승을 이끌었다.

글로벌주식시장은 중국과 세계경기 둔화 우려로 요동쳤다.

코스피는 전일(1925.43p) 대비 1.1% 하락한 1904.33p로 마감했다. 외국인은 전일에 이어 유가증권시장에서 2849억원을 내다팔았다. 지난해 11월 이후 외국인 순매도 기조는 일평균 1140억원을 기록하며 지속했다.

7일 아시아 증시는 중국 증시가 조기 폐장하는 등 2% 내외로 하락했다. 중국은 07.3%, 호주 -2.5%, 홍콩 -2.4%, 대만 -2.3%, 일본 -1.4%, 인도 -1.5%로 주저앉았다.

글로벌 IB는 이번 북핵 실험에 대해 대외 협상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나 북한의 고립을 심화시키는 행동으로 평가했다. 또 한국 신용도나 경제·금융시장 영향은 제한적이나 중국 불안 등으로 투자심리 약화를 우려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북한의 핵실험가 수소폭탄 실험 주장이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에 제한적인 영향에 그칠 것"이라며 "다만 북핵 관련 이벤트 등에 대한 위험을 가늠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불안정성과 신용약화를 초래할 가능성은 잠재해 있다"고 지적했다.

스탠다드 차타드는 "북한 이슈에 대한 금융시장 영향은 단기에 그친 바 있고 시장영향도 1주일 이내여서 이번에도 유사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오히려 김정은 체제가 불안정해 진다는 뉴스였다면 오히려 더 큰 리스크)"라고 분석했다.

Mitsubishi UFJ Morgan Stanley는 "북한 문제는 중동 지정학적 위험과 중국 주가급락 영향으로 타격을 받은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우고 주가 하락압력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미 투자자들이 벼랑 끝에 서 있는 상황에서 북한 이슈가 불안심리를 가중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해외시각을 볼때 예기치 않은 북한의 이번 핵실험 등으로 앞으로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들의 대북 추가 제재가 진행되면서 지정학적 위험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김용준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연초 중국 금융불안 등으로 국제금융시장에 위험회피 성향이 상당한 가운데 북핵 변수가 가세하면서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등 투자심리가 취약해질 수 있다"며 "금융시장과 외국인 투자자 동향 등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을 지속하는 등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