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후보 3인방,. "MBC민영화공약은 없다"

최근 MBC 이진숙기획홍보본부장과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이 만나 정수장학회 매각 등을 논의했다는 사실이 알려진 후 MBC민영화 이슈가 국민적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MBC측의 움직임과 별도로 3명의 대권후보측에서는 MBC 민영화와 관련 어떠한 공약도 검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근혜후보측 이상일대변인은 현재로서는 MBC민영화와 관련한 어떠한 공약도 없는 것으로 안다고 짧게 답했다.

문재인후보측 진성준 대변인은 "MBC는 공영방송으로 하는 것이 맞지않느냐"고 반문하며 "민영화도 국민적 합의와 국회동의 절차가 필요하고 신중할 필요가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안철수후보측 정연순대변인은 MBC민영화는공개적인 공론화 과정이 필요한 문제이며 민영화관련 공약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한겨레단독보도로 알려진 MBC민영화논의는 방송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겨레보도로 금기시된 MBC민영화 논란이 세상밖으로 터져나온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간 MBC 민영화 관련 공약은 노태우,YS,DJ,MB 등 역대정권의 단골메뉴였으나 MBC와 시민단체 등의 반발에 부딪혀 무산되고 말았다. 그리고 민영화에 대한 공약으로만 끝났을 뿐 이번처럼 구체적인 플랜이 제시된 적이 없었다.

이진숙본부장은 최필립이사장에게 11월까지 방문진의 내부합의 및 12월 임시주총을 거쳐 내년상반기정수장학회가 보유한MBC 지분 30%와 신주발행 지분 12% 등 42% 가량을 상장한다는 계획을 설명했다. 이본부장은 MBC자산평가추정액을 2조원으로 가정하고 정수장학회는 6천억원을 확보가능하며MBC는 신주발행 12%를 통해 확보한4천억을 MBC에 투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mbc 뉴스데스크의 한장면
▲mbc 뉴스데스크의 한장면




대선후보 3인 모두 MBC민영화에 대해 언급자체를 꺼리고 있으나 미디어빅뱅시대로 접어든 이때 공론의 장으로 나온 MBC민영화는 시대를 거스를 수 없는 화두가 되고 있다.

그 첫번째 이유는 여당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언론계 구도 때문이다. 집권여당이 다수당일 경우 방통위상임위원 5명중 3명을 확보하게 돼 KBS,MBC 등 지상파3사중 빅2 사장 인사권을 행사하게 된다. 여기에 언론공기업인EBS, 연합뉴스,YTN,아리랑TV, K-TV, 서울신문등의사장도 집권여당몫이다. 그래서 야당과 노조측은 연례행사처럼 낙하산사장 반대와 언론장악반대 투쟁을 하고있다.

또 하나는 주인없는 회사의 폐해인 노영방송논란 불식을 위해서 민영화가 필요하다. 주인이 없다보니 노조가 실질적인 입김을 행사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그렇다 보니 프로그램경쟁력보다는 여당이 임명한 사측 경영진과 노조집행부가 수시로 힘겨루기로 소모적인 힘을 쏟게 된다.

그리고 MBC의 소유구조와 수익구조의 불일치도 정체성을 흐리게 하고 있다. MBC는 정부가인사권이 있는 방문진이 70%를 소유하고 있고 30%는 교육재단인 정수장학회가 보유하고 있다. 사실상 국가가 경영권을 행사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수익은 대부분 광고수익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MBC의 정체성에 대해 MBC내부에서도 공정방송을 주장할 때는공영이라 말하고미디어렙,재전송이슈 등 돈과 관련되는 문제일 때는상업방송적인 태도를 취하는 다분히 모순적인 위치에 있다.

언론계 관계자는종편이 조만간 자리를 잡을 것으로 예상되는 등 미디어업계 경쟁이 치열해지는 환경속에서 이대로 가다간MBC가 도태될 수도 있다며 이를 피하기 위해 빠른시일 내에 주인을 찾아줘야 한다고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