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정권부터 인사 고리 끊어야
박근혜 대통령은 그동안 여러 차례 낙하산 인사는 없다고 공언해왔다. 그의 약속대로 공영방송 인사만큼은 낙하산 인사가 없기를 기대한다.

지난 정권에서 MB의 특보가 KBS 사장에 임명되어 두고두고 시끄러웠는데, 이번에는 그런 일이 반복돼서는 안 될 것이다.

역대 정권을 되돌아보면, 민주당이 정권을 잡았을 땐 공영방송의 경영진과 노조가 모두 ‘우군’이었던 데 반해, 한나라당 정권 땐 보수성향의 경영진과 이에 맞서는 노조의 저항 때문에 내홍에 휩싸였다. 그 대표적 사례가 MBC 노조와 김재철 사장의 대립이다. 공영방송에 대한 영향력을 놓고 보면 보수 정권이 강경 노조의 존재 때문에 진보 정권에 비해 항상 손해를 보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정권부터는 KBS와 MBC 사장과 이사회에 대한 인사의 고리를 스스로 끊는 관행을 만들어가자.

따라서 김재철 사장의 거취 문제에 대해서 정치권이 이러쿵저러쿵 영향을 미치려는 태도를 자제하기를 바란다. 김 사장, 본인이 스스로 그만두든가, 검찰 수사에 의해 명백히 밝혀진 비리가 있으면 방문진 이사회에서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면 될 것이다.

공영방송 노조도 정치권에 기대는 의타적 타성과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버리고 노조원들의 복지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주기를 충고한다. 노조가 친 민주당 성향을 계속 보일 경우, 새누리당의 간섭을 막을 명분도 없다고 본다.

민주당이 주장하는 대로 방송의 공정성을 담보하는 온갖 장치를 한들, 현재와 같은 역학 구조라면 방송의 독립성은 요원하리라는 것이 기자의 생각이다.

이제는 제도가 아니라 진정한 의식의 변화와 새로운 관행의 시작이다. 이번 박근혜 정부부터 공영방송 인사에서 집권당으로서의 기득권을 버리고 공영방송의 공정한 인사를 보장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를 간절히 바란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