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보불가' 승자는 이미 애플?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미국 연방수사국(FBI)가 테러조직 소탕을 위해 애플에 아이폰 암호 해제 프로그램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다. 애플은 위험한 시도가 될 수 있고 개인정보 보호도 인권의 하나라며 반박해 갈등이 예상된다.

2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FBI는 테러범과 외부 테러조직간 연계 여부 등에 관한 결정적 증거가 문제의 아이폰 단말기 안에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암호 해제 프로그램을 만들어 달라고 애플에 요청했다.

   
▲ 사진은 애플 아이폰 6S


미국 법무부는 "우리의 요구나 법원의 명령은 애플한테 아이폰 설계를 새로 하라거나 암호체계를 불능화하라거나 휴대전화에 저장된 내용을 공개하라는 게 아니라 문제가 된 그 아이폰 1대에 대해서만 알아보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 정부 당국의 실제 주문은 문제의 아이폰 암호를 해제하는 기술이 애플의 최신 기종에 도입된, 더 강화된 보안체계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것이다.

애플의 최고경영자 팀 쿡은 지난 17일 성명에서 미국 정부의 요구를 "위험스러운 선례를 만드는 것일 뿐 아니라, 해커나 전체주의적 정부들이 사용할 수 있는 곁쇠(본 열쇠는 아니지만 자물쇠를 열 수 있는 열쇠)라는 위험스러운 도구를 만들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설사 문제의 아이폰 한대에 대해서만 암호를 해제하더라도, 그 이후 국가안보와 거리가 먼일반 범죄 사건에서도 이 선례를 내세워 암호 해제 요구가 이어질 것이고, 중국은 물론 세계 어느 나라 정부든 애플에 같은 요구를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애플은 개인정보 보호도 하나의 인권이라며 국가안보를 내세우는 미 정부의 입장을 방어하고 있다. 그러나 애플의 강력한 저항엔 이러한 '가치' 만큼이나 사업모델로서 보안의 중요성도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외신들은 지적했다.

외신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현재 애플 사용자의 91%는 자동으로 암호화되는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데 비해 안드로이드 사용자는 34%만 암호화가 가능한 안드로이드를 사용하고, 그마저 자동으로 암호화되지는 않는다.

안드로이드폰의 경우 강력한 암호화의 실행을 강제하게 되면 휴대전화 성능이 크게 저하되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는 당신들 제품의 보안체계를 뚫을 수 없으니 당신들이 협조하라'는 미국 판사의 명령은 "애플로선 소비자 상대 홍보면에서 상당한 승리"라고 외신들은 해석했다. 

미국 정부로서도 이번 싸움은 테러 정보 수집과 관련, 포기할 수 없는 선례를 만드는 기회다. 미국 언론들은 미국 정부대 애플간 대결이 대법원까지 가는 오랜 싸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