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29일(현지시간) 지난해 한국과 일본의 위안부 문제 합의와 관련해 일본의 합의 이행을 강조했다. 

반 총장은 또 북한에서 자행되는 반인도적인 인권위반 행위를 바로 잡을 수 있도록 유엔이 여러 국가·정부와 협력해 계속 노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고 1일 연합뉴스는 보도했다.

반 총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 유럽 유엔본부에서 개막한 유엔 인권이사회 31차 총회 고위급 회기 패널토론에 참석해 `지속 가능한 2030 개발목표와 인권'이란 주제의 연설을 통해 "평화와 안보는 인권이 보장되지 않으면 존재할 수 없으며, 지속 가능한 개발도 평화와 안보가 담보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반 총장은 "2차 대전 중 엄청난 고통을 겪은 이른바 `일본군 위안부'에 관한 지난해 12월 한일 합의는 아무리 많은 세월이 흘렀어도 피해자들의 고통을 치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면서 "유엔 인권 메커니즘에 따른 충실한 합의 이행으로 피해자들의 아픔을 치유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반 총장은 또 "북한에서 자행되는 체계적이고 광범위한 인권위반 행위들을 유엔 북한 인권조사위원회(COI)가 생생하게 기록했고 지난해 12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유엔 인권 최고대표가 브리핑을 통해 이 사실을 더욱 부각시켰다"며 "일상적으로 인권을 거부하는 국가나 정부의 도전을 바로잡도록 2030 의제의 정신에 따라 유엔이 계속 노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반 총장은 이에 앞서 기자회견을 한 자리에서 시리아 휴전합의가 일부 논란은 있지만 대체로 잘 지켜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코피 아난 전 유엔 사무총장 시절 시리아 휴전을 몇 차례 시도했지만 금방 끝났다"면서 "그러나 시리아 내전 5년간 처음 있는 지금의 휴전합의는 일부 사건이 있지만 대체로 유지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아울러 "스테판 데 미스투라 유엔 시리아 특사 주재로 다음 달 7일 시작되는 평화회담이 상호 신뢰를 쌓는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면서 "국제적 시리아지원그룹(ISSG) 등도 휴전합의가 지속할 수 있도록 계속 감시하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