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나간 고객마음 되돌리기, 부동의 벤츠·BMW도…
[미디어펜=김태우 기자]21개월 만에 최저 판매량을 기록하며 연이은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는 수입차브랜드들이 국내고객들의 마음을 되돌리기 위해 파격적인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나섰다. 

폭스바겐의 무이자 할부에 이어 이번엔 부동의 BMW와 벤츠까지 무이자프로모션 등의 공격적인 마케팅을 진행하고 나선 것이다.

   
▲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BMW 5시리즈, 폭스바겐 골프, 폭스바겐 티구안, 메르세데스-벤츠 A클래스/BMW·폭스바겐·벤츠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수입차업체를 대표하는 독일 3사가 떠나간 고객마음을 되돌리기위한 수단으로 무이자 할부프로그램과 함께 소모품 무상교환 서비스, 고객손해분 최소화 서비스등의 파격적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우선 부동의 이미지를 보여줬던 벤츠의 메르세데스-벤츠파이낸셜서비스코리아는 콤팩트카 모델들을 대상으로 무이자 할부를 대대적으로 진행한다.

이번 프로모션 대상은 A-클래스, B-클래스, CLA-클래스, GLA-클래스로 무이자 할부 프로모션 및 잔가보장 저금리 프로모션 등을 이달 적용키로 했다. 특히 이번 프로모션은 고성능 AMG 모델까지 포함되어있어 전방위적인 프로모션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무이자 할부 프로모션의 경우 권장소비자가격 대비 30%의 선수금을 지불하면 24개월 간 이자 없이 할부금을 납부하고 차량을 구매할 수 있다. 

A200의 경우 권장소비자가는 3640만원인데 30%인 1092만원을 먼저 내고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는 24개월간 이자 없이 106만원 정도를 매달 납부하면 된다. 여기에는 정기 점검을 비롯 힌 엔진오일, 에어클리너, 브레이크 패드 등과 같은 소모품의 무상교체 해택을 제공한다.

벤츠의 또다른 프로모션인 잔가보장형 저금리 프로모션(1만㎞기준)은 선수금 30%, 36개월 계약 기간 기준으로 44~53%의 잔존가치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벤츠파이낸셜서비스코리아는 계약이 끝난 뒤에는 차량을 반납할 수 있으며 중고차량 가액이 잔존가치보다 높으면 고객에게 차익을 돌려주며 손해가 발생해도 손배분을 보전해 고객의 부담을 최소화 했다고 설명했다.

업계 양대 산맥인 BMW파이낸셜서비스코리아도 3월 한 달간 자사의 베스트 셀링모델인 5시리즈에 특별금융상품을 적용하고 고객마음 되돌리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번에 적용대상모델인 BMW 528i 모델을 3년 무이자 플러스 할부금융으로 구매 시 최대 36개월 무이자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 해당 상품 이용 고객이 3년 이내 5시리즈 신모델로 재구매시 3년 무이자 할부 혜택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BMW 520d 전 모델을 특별 잔가보장형 운용리스프로그램을 적용했다. 이 프로모션을 이용해 차량을 구매 할 때 3년 후 잔존가치를 기존 52%에서 62%로 10%p 올렸다. 그만큼 BMW측이 고객에게 부담이 될 감가에 대한 부담을 안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독일 삼사 중 가장먼저 무이자 할부금융을 실시한 폭스바겐파이낸셜서비스코리아는 이번달에도 베스트셀링모델 골프를 비롯해 제타, 티구안등 주요핵심차종들에 대해 특별 무이자 프로모션을 실시한다.

또 18일까지 이번 프로모션을 통해 골프를 계약하는 고객에게는 제조사 무상 보증 기간 3년을 포함해 최대 4년 또는 주행거리 최대 10만㎞까지 무상 수리를 받을 수 있는 특별 연장보증 프로그램까지 함께 제공한다. 

관련업계에선 이런 수입차브랜드들의 경쟁과열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입장에선 내차마련의 좋은 기회로 손꼽히고 있어 앞으로의 상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그간 실추된 이미지의 해결책과 관련해 대책마련이 저가정책만을 이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업계전반의 따가운 시선을 피하기 힘들어 보인다. 

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2월 수입차등록 대수는 1만5671대로 2014년 5월 이후 21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2월 실적에서 상위 4개 브랜드 중 메르세데스-벤츠(24%)를 제외한 BMW(-2.9%), 폭스바겐(-24.6%), 아우디(-59.8%) 모두 전년도 대비 판매량이 감소했다. 

이와 관련해 한 업계관계자는 “수입차 브랜드 모두의 판매량이 하락한 가운데 굳건히 판매량을 유지해온 벤츠 마저 공격적인 마케팅에 돌입했다”며 “다양한 좋지 않은 이슈들로 이미지가 실추된 수입차 브랜드들의 새로운 도약이 필요한 시기이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