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의 정치'에 빠져 뒷통수…당 대표로 용서받을 수 없는 일탈
[미디어펜=문상진 기자] 24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배신의 정치’로 또 한 번 한국의 정치정당사에 부끄러운 기록을 남겼다. 김무성 대표는 24일 오후 예정에 없던 기자회견을 열어 유재길(서울 은평을), 유영하(서울 송파을), 정종섭(대구 동갑), 이재만(대구 동을), 추경호(대구 달성) 후보자에 대한 의결 거부란 폭탄 발언을 한 후 자신의 지역구인 부산으로 도피행을 했다.

김 대표는 전날 유승민 의원이 “시대착오적 정치보복”이라며 박 대통령을 겨냥해 탈당 무소속 출마의 변으로 내걸었던 ‘정의가 아니다. 민주주의가 아니다’를 그대로 인용했다. 김 대표는 이날 회견에서 “당이 가해자, 피해자로 나뉘었다. 당을 억울하게 떠난 동지가 남긴 ‘정의가 아니고 민주주의 아니다’라는 말이 가슴에 비수로 꽂혔다”고 했다.

김무성 대표가 말한 ‘가해자’는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과 ‘배신의 정치’ 유승민 의원과 각을 세웠던 청와대, 박근혜 대통령을 지칭한 셈이다. 25일은 선관위 후보자 등록 마지막날이다. 이날까지 최고위 의결을 거치지 못해 5개 지역구가 '무공천 지역'이 되면, 이 곳의 새누리당 예비후보는 아예 출마할 수가 없다. 

김 대표가 후보 등록일인 25일까지 입장을 바꾸지 않을 경우 새누리당은 지역구 5곳에 후보를 내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당적 변경도 23일까지여서 무소속 출마도 불가능하다. 김무성 대표의 무공천 선포가 ‘공천 쿠데타’ ‘배신의 정치’ ‘반역의 정치’로 불리는 이유다. 

김 대표는 옥새파동 전날인 23일 오후 당대표 비서실 관계자가 찾아갔다고 한다. 현재 옥새의 행방은 묘연하다. 친박계의 당대표 권한대행체제 시행에 대비해 김 대표가 부산으로 가져갔을 가능성이 점쳐진다. 김 대표는 25일까지 최고위원회도 열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무성 대표가 대한민국을 상대로 '교활한 수'를 둔 것이다. 

이번 총선에서 김무성계 의원들은 한 명도 낙천되지 않고 모두 공천을 받은 상태다. 지금으로서는 전날 유승민 의원이 끝내 버림받은 것과 이재오 의원의 낙천에 크게 반발해 재의를 요구한 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에 대한 김 대표의 반발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 자기 사람들을 다 챙긴 김무성 대표가 돌이킬 수 없는 때를 노려 박근혜 대통령과 당에 반기를 든 것이다.

   
▲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배신의 정치’로 또 한 번 한국의 정치정당사에 부끄러운 기록을 남겼다. 김무성 대표는 24일 오후 예정에 없던 기자회견을 열어 유재길(서울 은평을), 유영하(서울 송파을), 정종섭(대구 동갑), 이재만(대구 동을), 추경호(대구 달성) 후보자에 대한 의결 거부란 폭탄 발언을 한 후 자신의 지역구인 부산으로 도피행을 했다. /사진=연합뉴스

유승민 의원의 탈당 발표가 있은 지난 23일 오후 11시 김무성 대표는 서울 모처에서 원유철 원내대표, 서청원 최고위원 등과 함께 술잔을 기울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 참석한 새누리당 박종희 사무부총장은 SNS에 현장 사진을 올렸다. 김 대표와 원 원내대표는 솔직한 속내를 털어놓고 소주잔을 주고받으며 총선 승리를 다짐했다.

그랬던 김무성 대표가 15 시간 후 폭탄선언을 했다. 친박계 지도부와 술잔을 나누던 것과는 180도 달라진 결의로 가득한 표정으로 제대로 뒷통수를 쳤다. 소위 ‘옥새 반란’으로 ‘유승민 구하기’에 나선 것이다. 

모든 연유와 사정을 넘어서 김무성 대표의 이 같은 행태는 공천분탕으로 국민의 눈에 비쳐지고 있으며 여당의 대표로서 있을 수 없는 선택을 한 것이다. 총선이 20일 남은 시점에서 자해나 다름없는 짓이다. 더구나 당의 직인을 악용하는 것은 ‘독재시대에나 있을 법한 공천독재’이자 몽니로 밖에 볼 수 없다.
  
지역구의 경우 후보자들의 공천장에 당대표가 직인을 찍어주지 않으면 후보 등록이 불가능한 제도적 한계를 악용하는 것은 용납하기 힘든 행태다. “후보 등록이 끝나는 내일(25일)까지 최고위원회의를 열지 않겠다”는 김무성 대표의 발표도 “정당의 후보자로 선관위에 등록할 때 당 대표의 직인이 찍힌 추천장을 내도록 하고 있다”는 공직선거법 49조를 악용한 독재적 횡포로 평가된다. 

당의 공천이라는 것은 어느 계파에도 완전한 만족을 없을 것이다. 공천과정에 억울하거나, 불합리하거나, 정의롭지 못한 경우도 적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계파싸움에 탈당한 후보자를 돕고 자당 후보자의 출마기회를 봉쇄하는 것도 또 다른 불의, 불합리, 억울함을 만들어낼 것이다. 옥쇠를 무기로 정부와 여당에 맞서는 김무성 대표의 이같은 언행은 해당행위다.

김무성 대표는 여당의 유력 대권 후보자다. 그런 김 대표가 전장으로 나서는 아군의 등 뒤에서 총질하는 듯한 자해극을 벌이는 것은 용서할 수 없는 일이다. 당 공천위에서 추천한 후보자들의 심판은 국민에게 맡기면 된다. 국민의 선택권을 박탈하려 드는 김 대표야 말로 배신의 정치다.

시민 단체들도 분노하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잇단 성명서를 내고  “여당 대표가 당의 화합은커녕 사사건건 분열만 일으키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면서 “대표로서 갑질을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또 다른 단체는 “공천장에 당 대표 직인을 찍어주지 않아 다른 인물이 후보 등록을 못하게 하고, 낙천한 현직 의원들이 다시 당선되도록 돕겠다는 것은 자신이 대표로 있는 당에 반역 행위를 하겠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새누리단 최고위원들도 김 대표를 향해 “당의 얼굴인 대표가 개인의견을 사전 조율없이, 정상적인 의결과정 거치지 않고 폭탄으로 언론과 국민 앞에서 발표하는 것은 정치적 쿠테타이며 당내 분열은 공천과정이 아니라 당대표의 무책임한 일탈 행위로 더 증폭되고 있다”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일부 의원들은 내심 박수를 보내고 있다. 더민주 정청래 의원은 이날 트위터에 "김무성 대표, 오랜만에 잘하셨다"며 "진작 이렇게 나왔으면 대선후보도 되었을텐데…너무 늦었다"고 글을 올렸다. 국민의당 박지원 의원도 페이스북에 "역시 김무성 대표답다. 상향식 공천하지 못한 것을 깨끗하게 인정하고 사과를 한다"며 "저도 여당을 반대하는 야당이지만, 김무성 대표, 이번만은 잘했다"고 칭찬했다. 

김무성 대표는 이번 사태로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대패할 경우 ‘책임론’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나아가 대권은 고사하고 정치 생명마저 위태로워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 대표는 배신의 정치, 반역의 정치를 접고 제자리로 돌아와야 한다. 당의 대표답게 보복의 정치가 아닌 화해와 포용의 리더십으로 당을 이끌어야 한다. 김 대표에게 남은 시간은 그렇게 많지가 않다. 자신만의 욕망을 위해 자신의 정치로 더 이상 정치를 욕보여서는 안된다.
[미디어펜=문상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