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서영 기자]
서울신문이 한국에 사무국을 둔 유엔국제기구인 녹색성장기구(GGGI)와 녹색기후기금(GCF)의 수장이 모두 사의를 표명했다고 단독 보도한 것을 두고 뒷말이 많다.서울신문 강병철 하종훈 기자는 지난 29일자 스트레이트 및 해설기사에서 GGGI 이보 더부르 사무총장과 GCF 헬라 체크로우 사무총장이 사의를 표명한 것에는 현 박근혜 정부가 제대로 된 지원을 하지 않은 데 따른 불만에서 비롯된 것처럼 보도했다.
이명박 정부 시절에는 녹색성장을 주요 국정과제로 내세워 관련 국제 기구 활동에도 큰 관심을 보였다는 것이다. 반면 박근혜 정부 들어 정책 우선순위가 낮아져 찬밥 신세가 되자 불만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서울신문은 전했다.
외교부는 서울신문 강기자와 하기자의 보도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GGGI 이보 드 보어 사무총장은 지난 4월 14일 회원국들에게 개인적인 이유로(strictly for personal reasons) 사퇴한다고 해명했다는 것이다. GGGI는 드 보어 총장 후임자와 관련, 국제공모를 통해 선발키로 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드 보어 사무총장은 개인적인 이유가 아닌 한 사임할 이유가 없다고 한다. 그는 지난 2년간 의욕적으로 GGGI를 개혁하는 데 성공했다. 여러 사업들도 추진했다. 올 9월에는 자신의 이니셔티브로 제주도에서 글로벌녹색성장서밋(GGGS)를 확대, 개편한 글로벌 녹색성장주간을 개최하기위해 노력해왔다.
GCF 헬라 체크로우 사무총장의 경우 오는 9월 3년 임기 종료를 앞두고 연임하지 않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6월 28일부터 30일까지 송도에서 열리는 후임자 결정을 앞두고 조만간 공모절차가 이뤄질 예정이다.
헬라 체크로우 총장은 그동안 박근혜 정부의 각종 지원정책에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2015년 11월 24일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정부의 지원, 좋은 인프라, 높은 보안수준, 우수한 인적 자원등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GCF는 지난해 12월말 파리협정 체결 이후 올해 3월 사무국 직원을 현재의 56명에서 내년까지 170명으로 대폭 확대키로 결정했다. 조직과 위상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셈이다. 국제적 기후변화 대응의 중심기구로서 역할과 기능이 더욱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박근혜 정부는 그동안 GGGI와 GCF의 위상강화와 역할 증대를 위해 적극 지원했다. 한국정부는 GGGI가 국제기구로 출범한 직후 2013년부터 매년 1000만 달러를 공여하고 있다. 이는 회원국 가운데 최대규모를 자랑한다. 총회와 이사회 공여국협회 등을 통해서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GGGI의 회원국과 재정확대를 위해서도 적극 노력중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GGGI의 본부 협정을 바탕으로 사무국과 직원들의 활동에 불편이 없도록 지원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송도에 사무국을 두고 있는 GCF에 대한 우리정부의 지원도 확대되고 있다. 박근혜 정부는 GCF 유치시 약속한 4900만 달러의 공여금액을 1억 달러로 확대했다. 이같은 재원 조성을 바탕으로 총 103억 달러 규모의 성공적인 초기 재원 조성을 선도했다. GCF가 2015년 11월 처음으로 승인한 8개 사업중 브라질 아마존 습지 보존 사업에 한국의 에너지자립섬 모델이 채택되도록 지원했다. 박근혜 정부는 GCF가 본격적인 사업을 전개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인천시와도 협력해 GCF사무국 직원들의 정주환경 개선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외교부는 GGGI와 GCF가 명실상부한 국제기구로 정착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후임 사무총장도 공정한 절차를 통해 선출될 수 있도록 협력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박근혜 대통령은 글로벌 기후변화 협약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지난해 11월말 파리에서 열린 기후변화협약당사국회의(COP21)에 참석, 기조연설을 했다. 박 대통령은 당시 기조연설에서 “신기후체제 출범을 위한 국제적 공조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천명했다. 온실 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하고, GCF기여금 확대등도 밝혔다. 박 대통령은 역대 어느 대통령보다도 환경변화 대응에 대한 관심과 투자, 글로벌 공조에 적극 나서고 있다.
서울신문은 단독보도라는 형식을 취해서 사실을 부정적으로 부풀려서 보도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사무총장들이 개인적인 사유등으로 사의를 표명했다고 해명한 것을 관련정책 폐기에 따른 불만으로 왜곡한 것이다. 강병철 기자는 해당 기사에서 “이명박 정권에서 박근혜 정권으로 교체되면서 관련정책 폐기로 국제기구 수장들이 한국을 등지게 됐다”고 강변했다.
서울신문은 두기구 사무총장들이 박근혜 정부의 지원에 만족하고 있는 것을 애써 무시했다. 일부 좌파 환경주의자들의 의견만을 확대해석해서 부정적으로 덧칠을 가했다. 박근혜 정부가 이들 두기구의 조직확대와 기능강화, 출연금 확대에 적극 나서고, 기후변화 글로벌 공조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노력은 평가절하했다. 서울신문은 미리 부정적인 틀을 짜맞춰 놓고 편향된 보도를 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기사작성에 필요한 사실확인과 균형보도 측면에서 문제가 많다는 게 미디어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단독보도라는 미명하에 과장왜곡 보도로 박근혜 정부의 정책과 신뢰에 흠집을 내려는 것으로 보일 뿐이다.
[미디어펜=이서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