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코 같은 말(馬)을 사는 실수 하지 않겠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기자] “미국의 확고한 대북 정책은 이전이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우리는 최우선으로 한반도 비핵화를 통해 미국과 동맹을 보호할 것이다. 절대로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고, 인류를 안전하게 하는 글로벌 핵비확산 체제를 절대 약화시키지도 않을 것이다.”

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대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3일(현지시간) 북한이 핵보유국이 되는 것을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의 비핵화를 거듭 촉구했다.

이날 러셀 차관보는 미 워싱턴D.C.에서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와 중앙일보 공동 주최로 열린 ‘한반도의 새로운 패러다임’ 심포지엄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미국과 동맹의 모든 대화 노력에도 오늘날 우리는 ‘비핵화’라는 단어조차 언급하지 않는 북한의 새 지도자와 마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실수를 되풀이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우리는 두 번, 아마 세 번일 수 있는데 결코 같은 말(馬)을 사는 실수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북한이 비핵화에 관한 2005년 9·19 공동성명 합의를 파기한 채 핵과 미사일 도발을 지속하는 상황에서 북한의 선전에 속아 잘못된 합의나 양보를 하지 않겠다는 취지의 언급이다.

러셀 차관보는 “우리가 (북핵 문제를 풀려고) ‘루빅 큐브’를 이리 돌리고 저리 돌려보아도 북한은 ‘한미동맹은 적대적 행위’라는 신조를 고수하며 자신들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정당화했다”고 전했다.

또 “우리는 북한 정권에 번영된 미래와 안보(체제보장)로 이어지는 길이 열려 있음을 분명히 밝혀왔다. 그러나 그 길의 관문은 비핵화가 전제”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대북제재의 목적은 북한 지도부로 하여금 ‘평화의 길로 나가는 길 이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다’는 것을 깨닫게 하기 위한 것”이라며 “굴복이 아니라 정신 차리게 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러셀 차관보는 이와 함께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한 6자회담 당사국 간의 공조, 특히 철저한 한미 공조를 역설했다.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는 한미동맹이 어느 때보다 공고하다고 강조한 뒤 “우리는 북한에 신뢰할 만한 협상을 제의하겠지만, 만약 (핵·경제) 병진정책을 고수한다면 북한의 고립만 더 심화할 뿐”이라며 “북한이 올바른 선택을 하지 않는 한 미국은 한국과 협력해 대북제재 및 다른 수단을 통해 그 선택(핵개발)에 대한 대가를 높여나갈 것”이라고 밝혔다.[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