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연주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지난달 통화정책회의 참가자들 사이에서 경제지표의 호조를 전제로 오는 6월 기준금리를 올릴 필요가 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준은 이런 내용이 담긴 통화정책결정기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지난달 정례회의록을 17일(현지시간) 공개했다.
대부분의 참석자(FOMC 위원들)는 "앞으로 발표되는 경제지표가 2분기의 경기 회복 추세와 일치하고, 고용시장이 더 개선되면서, 물가가 위원회(FOMC)의 목표치인 2%를 향해 계속 근접한다면, 오는 6월 연방기금금리 목표치를 올리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했다고 회의록은 전했다.
금융위기 이후 0∼0.25%의 '제로금리' 정책을 쓰던 연준은 지난해 12월 기준금리를 0.25∼0.5%로 올렸고, 올해 들어서는 기준금리를 세 번 동결했다.
회의록에는 또 "참석자들은 세계 경제와 금융시장 동향이 (미국) 경제 전망에 가하는 위험 요인이 이전 정례회의 이후 후퇴했다는데 일반적으로 동의했다"는 내용도 담겼다.
올해 초 금융시장에서 변동성이 커지고 미국 달러화 가치가 계속 상승하며 국제유가는 하락하는 상황은 미국 기준금리가 동결되는 배경이었지만,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권자들이 이런 요인들의 영향력을 이전처럼 강하게 간주하지 않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고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최근 지역 연방준비은행장들이 언론 인터뷰나 강연에서 잇따라 6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언급했던 일이 이런 연준의 입장 때문이었음이 회의록에서 드러났다고 풀이했다.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장이나 제프리 래커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장 등은 지난 4월 기준금리 동결 이후 6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있다거나 올해 두 번의 금리인상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여 왔다.
회의록에는 FOMC 위원들이 "지난 1분기에 소비지출 둔화를 분명하게 만들었던 여러 요인이 지속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점을 논의했다"는 내용이 담겼고, 전날 발표된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최근 3년여만의 최대폭인 0.4% 상승하며 이런 시각을 뒷받침했다.
반면, 대표적인 고용 지표인 비농업부문 신규고용 증가량이 지난 4월에 금융시장의 기대에 못 미치는 16만 개에 불과하면서 고용시장 호조의 지속 여부에 의구심을 불러일으킨 점은 여전히 6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낮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전문가들은 풀이했다.
연준의 대표적인 물가지표인 핵심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전년 대비 상승률 역시 지난 1월과 2월에 1.7%였다가 지난 3월에는 1.6%로 주춤했다.
"일부 참가자들은 (달러화 강세나 국제유가 하락 같은) 일시적 요인들이 소비지출이나 광범위한 기업 투자의 둔화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으며, 경제성장 둔화의 위험 요인이 더 지속적이라는 의견을 보였다"는 회의록 내용 역시 더 명확한 경제지표 개선이 없이는 6월 금리인상 결정이 쉽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고 전문가들은 해석했다.
[미디어펜=김연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