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나라 압송 봉림대군과 여색꿈꾸는 주인공의 이질적인 사설 특이

   
▲ 하응백 휴먼앤북스 대표, 사단법인 서도소리진흥회 이사장
하응백의 재미있는 국악 사설이야기(1)

1.청석령 지나갈 제

소리(성악곡)는 연습할 때는 혼자 하겠지만 그것이 가창(歌唱)될 때는 청중을 필요로 한다. 기악이 음률과 음색으로 청중에게 다가간다면 성악(聲樂)은 가사, 즉 의미(뜻)라는 전달 매체가 하나 더 있다. 성악은 가사의 의미가 정확히 전달될 때 그 소리의 본질이 가창자(소리꾼)로부터 청중에게 감동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를테면 『춘향가』에서 <쑥대머리>를 부른다고 하자. “쑥대머리 귀신형용 적막옥방에 찬 자리여 생각나는 것은 임뿐이라 보고지고 보고지고 보고지고” 하는 부분이 있다. 이 부분은 춘향이가 죽음을 앞두고 목에는 칼을 쓰고 머리는 산발이 된 채 귀신과 같은 형상을 하고 아무도 없는 찬 바닥 옥중에서 이도령을 생각하며 부르는 노래다. 이 노래를 부를 때, 만약 ‘쑥대머리’나 ‘귀신형용’이나 ‘적막옥방’ 같은 가사가 다르게 전달되거나, 전달된다고 해도 청중이 그 뜻을 모른다면, 춘향이의 애절하고 절절한 그 심정을 알 수가 없는 것이다.

즉 이 대목은 임방울이나 김소희와 같은 명창이 부르고 청중이 춘향이 처한 배경과 그 가사의 정확한 뜻을 알면, 모골이 송연해지며 머리카락이 곤두 서는 느낌을 받는 대목이며 아무리 목석같은 사람일지라도 아니 눈물 흘릴 수 없는 장면이다. 하지만 청중이 사설의 뜻을 모른다면 그 감동은 반감될 수밖에 없다.
 

때문에 국악사설은 부르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 정확하게 이해를 하고 부르고 들을 때 국악 성악곡은 더욱 심도 있게 다가설 것이다. 하지만 국악사설은 고어투거나 한문이 많이 섞여 있어 현실적으로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이 알기 힘든 요소가 많이 있다. 이를 극복하는 방법은 교육과 공부를 통해 국악사설에 다가가는 길밖에 없다.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그렇다. 이 연재는 국악사설을 보다 쉽고 재미있게 이해하기 위한 한 방편이다.

가야금병창으로 부르는 <청석령 지나갈 제>라는 노래가 있다. 박귀희명창이 잘 불렀다는 노래의 사설은 다음과 같다.

청석령 지나갈 제 초하구가 어디메뇨
호풍도 참도찰사 구진 비는 무삼일고
뉘랴 내 형상 그려다 님계신 곳 전해주리
부귀와 공명을 하직허고 가다가 아무데나
기산대하천 명당을 가리고서 오관팔작으로 황학루만큼 집을 짓고
앞내물 백조 한 배로 벗님네를 거나리고 옛노래를 한 연후에
내 나이 팔십이 넘으면 승피백운하야 옥경에 올라가
제방투호 다홍열을 나 혼자 임자가 되어서 늙어 노락허오리다(박귀희 사설)

이 사설에서 앞부분은 병자호란 이후 봉림대군(훗날의 효종)이 지은 시조라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청구영언』에 실린 원문은 이렇다

청석령(靑石嶺) 지나거냐 초하구(草河口) 어듸메오
호풍(胡風)도 참도 찰샤 구즌비는 무스 일고
뉘랴셔 내 행색(行色) 그려내여 님 계신듸 드릴고

   
▲  <청석령 지나갈제>는 병자호란 패배로 청나라에 끌려가는 봉림대군(효종)의 처절한 노래와 부귀영화를 누리며 미인들과 사는 것을 꿈꾸는 한량한 선비의 노래가 한데 이어진 특이한 사설로 이루어져 있다. 박귀희 명창이 특히 잘 불렀다고 한다.

이 시조는 봉림대군이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가면서 한스러운 심정을 표현하고 있다. 북쪽의 청석령과 초하구를 지나니 오랑캐 땅의 바람은 너무나 찬데 궂은 비까지 내리고 볼모로 끌려가는 자신의 행색이 너무도 비참하다. 이 처참한 상황을 누가 그려서 한양에 있는 인조임금께 전해줄까 하는 내용이다. 여기까지 사설은 박귀희의 가야금병창 가사와 조금 다르긴 하지만 크게 달라진 것은 없어 이해하는 데는 전혀 문제가 없다.

그러나 그 다음 사설에 나오는 ‘기산대하천’, ‘오관팔작’, ‘백조 한 배로’, ‘다홍열’ 등은 도대체 무슨 뜻인지 정확히 알 수가 없다. 필자도 이 부분이 해석이 안 되어 고민을 거듭했다. 역시 해답은 고전에서 나오는 법. 『청구영언』을 뒤적거리다가 다음과 같은 작자 미상의 사설시조를 발견하고 무릎을 탁 쳤다.

공명(功名)과 부귀(富貴)과란 세상(世上) 사람 다 맛기고
가다가 아모데나 의산대해처(依山帶海處) 에 명당(明堂)을 갈외셔 오간팔작(五間八作)으로 황학루(黃鶴樓) 맛치 집을 짓고 벗님네 다리고 주야(晝夜)로 노니다가 압 내예 물 지거든 백주(白酒) 황계(黃鷄)로 내 노리 가잇다가
내 나이 팔십이 넘거드란 승피백운(乘彼白雲)하고 하날에 올나 가셔 제방투호(帝傍投壺) 다옥녀(多玉女)를 내 혼쟈 님자되어 늙을 뉘를 모로리라

이 시조와 가야금 병창 <청석령 지나갈 제>의 중간 사설을 비교해 보면 단번에 이 시조가 원본(原本)임을 알 수 있었던 것이다. 물론 작자 미상의 시조란 조금씩 달리 부를 수도 있다. 예컨대 <청석령 지나갈 제>에서 ‘기산대하천(奇山大河川)’으로 풀이 해 ‘기이한 산과 큰 하천’에 명당을 가린다고 해도 뜻은 통한다. ‘오간팔작’이 ‘오관팔작’으로 변한 것은 소리할 때 발음상 편의를 위해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청석령 지나갈 제>에서 ‘백조 한 배로’와 ‘다홍열’은 위의 시조를 찾지 못하면 도저히 그 뜻을 알 수 없게 와음(訛音)이 많이 진행된 것이다(와음이란 소리가 여러 이유로 인해 변한 것을 말한다).

‘백조 한 배로’의 원래 음과 뜻은 ‘백주(白酒) 황계(黃鷄)로’, 즉 ‘막걸리와 누런 닭으로’가 된다. 마찬가지로 ‘다홍열’도 ‘다옥녀(多玉女)’가 되어야 비로소 그 전체적인 뜻을 알 수가 있는 것이다. 전체적인 내용은 부귀공명을 버리고 경치좋은 곳에 집을 짓고 벗들과 술이나 마시다가 팔십까지 살다가 죽으면 구름을 타고 하늘로 가서 미인들을 독차지 하고 살고 싶다는 것이다. 남자들이라면 누구나 그러고 싶을 것이다. 참 욕심도 많다.

<청석령 지나갈 제>는 이처럼 서로 연관이 없는, 혹은 처참함의 주인공이 부르는 소리와 행복함의 주인공이 부르는, 즉 상호 이질적인 내용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즉 봉림대군의 시조와 작자미상의 사설시조 하나가 조합해서 이루어진 특이한 사설인 것이다.

현재 이 가야금병창을 부른 사람들도 박귀희 사설 그대로 부르고 있는데, 특히 앞으로 이 노래를 가야금병창으로 부르는 분들은 ‘백주 한 배로’를 ‘백주 황계로’ ‘다홍열’은 ‘다옥녀’로 고쳐 불렀으면 한다. 그래야 최소한의 뜻이 통한다.  /하응백 휴먼앤북스 대표, 사단법인 서도소리진흥회 이사장



<필자소개>

하응백(河應柏)은 대구에서 태어나 대건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국어국문과를 졸업했다. 1985년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1993년 동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청원고등학교, 경희여중 교사를 거쳐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국민대학교 문창대학원 교수를 역임했다.
 

199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으로 당선하여 문학평론가로도 활발하게 활동했다. 여러 신춘문예의 심사위원, 여성동아 장편소설상, 세계일보문학상 등 여러 문단의 비중있는 문학상의 심사위원을 지내기도 했다. 『이옥봉의 몽혼』(2009)등 15권의 편저서가 있다. 2002년 <휴먼앤북스>라는 출판사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국악에 심취하여 『창악집성』(2011)이라는 국악사설을 총망라한 대작을 펴내기도 했다. 현재 <휴먼앤북스>출판사 대표이며, 사단법인 서도소리진흥회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