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검은손" 긴장·불쾌감…화웨이 "소재지 법률 준수하고 있다" 해명
[미디어펜=이상일 기자]미국 상무부가 북한을 자금세탁 우려 대상국으로 지정한 데 이어 중국 전자·통신업체 화웨이(華爲)에 북한 등 제재 대상국과 관련된 정보 제출을 요구하자 중국은 바짝 긴장한 분위기다.

이에 대해 화웨이는 미국에서 법률을 준수하고 있다며 문제 소지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특히 이번 조치는 6일부터 베이징에서 열리는 미·중 전략경제 대화를 앞두고 나온 것이라 양국 간의 기 싸움이 더욱 팽팽해지고 있다.

중국 언론은 3일 미국의 화웨이 조사를 일제히 신속 보도하면서 당혹스러움과 불쾌감 그리고 긴장감을 동시에 내비쳤다.

중국 관영 환구망은 미 상무부가 최근 화웨이에 북한, 이란, 시리아, 수단, 쿠바 등 제재 대상 국가에 기술제품을 수출 또는 재수출한 기록을 제출하라고 요구해왔다는 사실을 주요 뉴스로 전하면서 파장을 우려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환구망은 미국의 중국 주요 통신장비 기업에 대한 이런 의문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2012년 미국의원이 화웨이와 중싱(ZTE·中興)에 대해 대이란 수출 관련해 문제를 제기한 바 있으며, 양사는 당시 이란과의 모든 업무는 합법적인 경제목적에 따른 것이며 미국의 대이란 제재규정을 어긴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환구망은 또 미국이 '국가안전위협'을 명분으로 미국 통신시장에 진입하는 중국기업들에 대해 늘 적대적인 태도를 취해왔다면서 화웨이와 중싱은 모두 자사제품이 미국의 국가통신안전을 위협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해명했다고 밝혔다.

동방재부망은 뉴욕타임스와 로이터 등의 보도를 인용해 이번 화웨이 조사를 상세히 보도했다. 이 매체는 미 상무부의 화웨이 조사가 미·중 전략경제 대화를 앞두고 매우 민감한 시기에 발생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왕이재경 인터넷판은 화웨이의 많은 제품이 미국의 부품과 기술을 쓰고 있어 만약 제재를 받게 되면 무선통신 제품 생산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화웨이는 미국에 연구센터 6곳을 두고 있다.

중화망은 미국이 화웨이에 검은 손을 뻗치려 한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화웨이는 미 상무부의 이번 조치에 대해 즉각적인 논평을 거부했지만 한 외신에 보낸 이메일 답변에서 "회사는 소재지 법률을 준수하고 있으며 직원들에 대해서는 엄격한 교육훈련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화웨이는 또 미 상무부를 포함한 정부 당사국의 수출통제정책에도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미디어펜=이상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