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막한 절간요사체 남자거사있는 곳 여승찾아와 밤새고

   
▲ 하응백 휴먼앤북스 대표, 사단법인 서도소리진흥회 이사장
하응백의 아름다운 국악사설 이야기(2)

에로틱한 시조창과 가곡

시조창으로 자주 부르는 황진이의 시조 중에 이런 것이 있다.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어
춘풍(春風)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어룬님 오신 날 밤이어든 굽이굽이(펴리라)

동짓날 밤이 얼마나 긴가. 그 동짓날 밤 시간을 뚝 잘라다가 이불 아래 넣어두었다가, 어룬님 오신날 밤, 잘라놓은 밤을 다시 펴겠다는 내용이다. 동짓날 밤을 잘라다가 어룬님 오신 날 같이 보내면 밤이 더욱 길어질 것이 아닌가. 이 시조는 독수공방하는 여인네가 임과 함께 하는 긴 밤을 간절히 바라는 마음이 담겨있다. 그렇다면 ‘어룬님’은 무슨 뜻일까. 간단하게 말하면 ‘얼운 사람’, 즉 성관계를 가진 사람이다. 신라의 향가 <서동요>에,

선화공주님은
맛둥바을
남 그스지 얼어두고

라는 대목이 있다. 해석을 하면 “(신라의)선화공주님은 맛둥방(훗날의 백제 무왕)을 남 몰래 얼어두고”라는 뜻이 되는데, 이 때도 ‘얼어’는 성관계를 뜻하는 말이다. 요즘말로 하면 “선화공주님은 맛둥방과 남 몰래 통정(通情)을 하고” 정도가 된다. ‘얼우다’, ‘어루다’가 동사형이며 여기에 명사형 접미사 ‘이’가 붙으면 ‘이룬이’가 되고 이것이 변해 ‘어른’이 되는 것이다. 즉 ‘어른’이란 말은 어원적으로 성관계를 가진 사람이란 속뜻이 숨어 있다. 황진이와 어룬님이면서 그토록 애타게 황진이를 기다리게 했던 그 복많은 사나이는 누구였을까?
황진이의 시조는 은근하면서도 점잖고 아름답지만, 다음의 가곡 계면조 언편의 시조 한 수는 웃음을 자아내게 만든다.

   
▲ 황진이의 시조중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내여, 춘풍(春風)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에는 동짓달 긴긴 밤의 허리를 싹뚝 잘라다가 몸을 섞은 님이 다시 오실 때 풀어서 밤새도록 사랑을 나누고 싶다는 마음을 노래했다. 시조중 가장 애로틱한 노래이기도 하다.

백발(白髮)에 환양 노던 년이 젊은 서방을 맞초아 두고
센 머리에 먹칠하고 태산준령(泰山峻嶺)으로 허위허위 넘어가다가 과그른 소나기에 흰 동정 검어지고 검던 머리 희였고나
그를사 늙은이 소망(所望)이라 일락배락하더라

‘환양 노던 년’이란 ‘서방질하는 년’이라는 뜻이다. 머리가 흰 늙은 여자가 젊은 남자와 약속을 해 놓고 흰 머리에 염색을 하고 고개를 넘어가다가 마침 소나기를 만났다. 요즘처럼 염색약이 좋았으면 다행이련만, 먹을 사용해서 물이 빠져 저고리의 흰 동정은 검게 변하고 염색했던 검은 머리는 도로 백발로 변했다. 그래서 늙은 여자 소망이 좋았다 나빴다 했다는 것이다.

여자 입장에서 보면 낭패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 시조는 늙은 여자의 성욕을 비난하면서 풍자하는 내용이지만 그 여인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어쩐지 좀 슬프다. 유전적으로 좀 일찍 머리가 세는 사람도 있게 마련이고, 체질적으로 성욕이 강한 여자도 있게 마련인데, 그런 것이 조선시대의 상식으로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것이다. 반면 남자의 경우는 아주 뻔뻔하다.

옥 같은 임을 잃고 임과 같은 자네를 보니
자네 긘지 긔 자네런지 아무긘 줄 내 몰라라
자네 긔나 긔 자네나 중(中)에 자고나 갈까 하노라

가곡 계면조 편수대엽 중의 한 수인데, 좀 상상력을 보태 설명을 하면 이런 내용이다. 한 남자가 아내 혹은 자신이 좋아하던 기생(첩)을 잃었다. 죽었는지 다른 곳으로 갔는지는 알 수 없다. 어쨌든 옥 같은 임을 잃고 기생집으로 갔다. 그런데 새로 만난 기생을 보고 한 눈에 반했다. 그 기생에게 자네는 전번 그 여인과 너무 닮았다고, 그 여자가 환생한 것 같다고 너스레를 떨며 수작을 건다. “자네가 그 사람인지, 그 사람이 자네인지 누가누구인지 나는 모르겠다”고 뻔한 수작을 건네는 것이다. 그리하여 자네이거나 그 사람이거나 누구이든지간에, 자신은 하룻밤 자고 가겠다는 것이다. 바람둥이 남자가 여자를 꼬실 때, 사용하는 전형적인 수법 중의 하나이다. 여자가 넘어갔을까?
가곡 우조 소용에는 더 재미있는 내용의 시조가 있다.

어흠아 그 뉘 오신고 건너 불당(佛堂)에 동령(動令)중이 내 올러니
홀거사(居士) 홀로 자시는 방안에 무스것하러 와 계신고
홀거사(居士) 노감탁이 벗어 거는 말 곁에 내 고깔 벗어 걸러 왔음네

이 시조의 상황을 재구성 해보자. 깊은 산 조용한 절간에 밤이 왔다. 요사체에는 남자 거사가 혼자 머물고 있다. 건너 불당에는 동냥을 다니는 여승이 혼자 있다. 밤이 깊어지고, 싱숭생숭해진 여승이 거사의 방 앞에 와서, ‘어흠’하고 기척을 한다. 거사가 묻는다.
“누구신가?”
“저예요, 건너 방에.”
“남자 혼자 있는데 이 밤중에 무슨 일로 오셨는가?”
“거사님 탕건 거는 곳에 내 고깔도 벗어 걸려구요.”

여기에 다른 말이 무엇이 필요하겠는가?
그들은 그날 밤, 한 숨도 못 잤다./ 하응백 휴먼앤북스 대표, 사단법인 서도소리진흥회 이사장

<필자소개>

하응백(河應柏)은 대구에서 태어나 대건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국어국문과를 졸업했다. 1985년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1993년 동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청원고등학교, 경희여중 교사를 거쳐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국민대학교 문창대학원 교수를 역임했다.
 

199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으로 당선하여 문학평론가로도 활발하게 활동했다. 여러 신춘문예의 심사위원, 여성동아 장편소설상, 세계일보문학상 등 여러 문단의 비중있는 문학상의 심사위원을 지내기도 했다. 『이옥봉의 몽혼』(2009)등 15권의 편저서가 있다. 2002년 <휴먼앤북스>라는 출판사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국악에 심취하여 『창악집성』(2011)이라는 국악사설을 총망라한 대작을 펴내기도 했다. 현재 <휴먼앤북스>출판사 대표이며, 사단법인 서도소리진흥회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