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이 끝나가면서 신흥국들이 심각한 유탄을 맞고 있다.

기축통화가 아닌 신흥국가들이 세계의 통화국가인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정책에 애꿎게 환율이 급등하고 외국자금이 빠져나가는 등 홍역을 앓고 있기 때문이다.

경상수지 적자가 많은 아르헨티나, 터키와 남아공, 인도등에서 주가가 폭락하고, 환율이 급등하는 등 미국발 양적완화 축소 쇼크가 신흥국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벤 버냉키의장의 마지막 작품으로 양적완화 정책으로 매달 풀린 850억달러중100억달러를 회수한다고 밝혔다. 버냉키는 이전에 100억달러를 회수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번 조치로 매달 200억달러의 돈줄을 죈 것이다. 버냉키는 글로벌 금융위기이후 헬리콥터 벤으로 불릴 정도로 시중유동성 제고를 위해 천문학적인 돈을 풀었으며, 금리도 제로로 낮춰서 자금을 공급하고, 기업들의 자금난을 막아왔다. 이제 미국경제가 회복기미를 보이면서 풀었던 돈을 거둬들이기 시작한 것이다. 결자해지차원의 양적완화 축소작업을 한 셈이다. 

이같은 양적완화 축소정책은 버냉키의 바톤을 이어받은 쟈넷 앨런 새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에게도 이어질 전망이다. 

신흥국들이 버냉키의 양적완화축소 정책의 유탄을 맞고 있지만, 한국만은 다행히 선방하고 있다. 견고한 경상수지 흑자확대(지난해 707억달러)와 세계6~7위규모의 외환보유액(3400억달러), 삼성전자 현대차 등 제조업의 견실한 대외수출 확대등에 힘입어 주가가 급락했다가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외국자금의 탈한국도 크지 않고 있다. 경제기초체력면에서 우리는 신흥국과 차별화를 보이고 있는 것도 금융시장이 안정되고 있는 주된 요인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31일 버냉키의장의 양적완화 축소 정책에 따른 국제 금융위기가 재발할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위기의 진원지는 신흥경제국일 것이라고 지목했다.

경상수지 적자가 많은 신흥경제국들은 최근 새로운 시장 압력의 상황에 직면했다는 것이다.

현재로선 신흥국의 주식및 회사채 투매(sell-off)를 촉발한 단일 요인을 지목하기는 어렵지만 미연준리의 양적완화 축소정책과 연관이 있다는 게 IMF의 진단이다.

신흥국중에선 남아프리카공화국과 터키가 주된 희생양이 되고 있다. 남아공과 터키의 중앙은행들은 경쟁적으로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터키 중앙은행의 경우 지난달말 자국 리라화의 평가절하를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4.5%에서 10%로 5.5%포인트나 올렸다. 남아공 중앙은행도 5.0%에서 5.5%로 소폭 인상했다.

IMF는 "신흥국의 경제출렁거림은 일관된 거시경제및 금융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어떤 경우에는 펀더멘털과 정책 신뢰를 개선할 수 있는 긴급 정책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리인상과 IMF구제금융 요청등 비상조치를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디어펜=장원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