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문상진 기자] 중복을 하루 앞둔 오늘도 낮에는 불볕, 밤에는 열대야로 복날 값을 톡톡히 하고 있다. 초복·중복·말복중은 10일 간격으로 20일에 걸쳐 있다. 1년 중 가장 더운 더위를 초복·중복·말복을 합쳐 삼복더위라 한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더위를 이겨 내라는 뜻에서 높은 벼슬아치들에게 빙표(얼음표)를 주어 장빙고에 가서 얼음을 타 가게 했다.

   
▲ 중복을 하루 앞두고 전국에 폭염 경보가 내리는 등 불볕 더위가 이어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복중에는 더위를 피하기 위해 부녀자와 아이들은 제철과일을, 어른들은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계곡에서 탁족을 즐겼다.

복날과 관계 있는 속신으로 '복날에 시내나 강에서 목욕을 하면 몸이 여윈다.'는 것이 있다. 이러한 속신 때문에 복날에는 아무리 더워도 목욕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초복에 목욕을 하였다면 중복과 말복 날에도 목욕을 해야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복날마다 목욕을 해야만 몸이 여위지 않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초복과 중복, 그리고 말복에 걸친 삼복더위를 이겨내는 음식으로 개장국이 있다. 개장국은 동의보감, 열양세시기, 동국세시기, 농가월령가에도 등장할 만큼 여름철 보양식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금기시 하는 특정 종교나 재수 없다는 속설로 삼계탕을 즐기기도 했다.

이외에도 팥죽을 쑤어 먹으면 더위를 먹지 않고, 질병에도 걸리지 않는다고 하여 초복에서 중복, 말복까지 먹는 풍속도 있다. 팥은 원래 악귀를 쫒는 효험을 가졌다고 믿었다. 무더운 복 중에 악귀를 쫓고 무병장수를 기원한 풍속에서 유래됐다.
[미디어펜=문상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