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어회 능가 까다로운 입질 전문성 필요…씨알 적은 보구치는 덤
하응백의 낚시여행-수조기를 찾아서

   
▲ 하응백 휴먼앤북스 대표·문학박사
세상에는 알 수 없는 일들이 가끔 있다. 물고기 이름도 그 중 하나다. 예를 들면 서해안에서 우럭낚시를 하다보면 가끔 잡히는 가시가 많고 사납게 생긴 작은 물고기가 있는데, 서해안 낚싯배 선장들은 깜팽이라 부르곤 한다. 이 물고기를 볼락이나 쏨뱅이, 혹은 논제미라 부르는 사람도 있다. 붉은 색을 띤다고 해서 빨갱이라 부르기도 하고, 심지어는 우편배달부라는 별명으로 부르는 선장도 있었다.

왜 우편배달부냐고 물어봤더니 아무 데나 다 살아서 어디나 편지를 배달하는 우편배달부 같다고 해서 우편배달부, 요즘말로는 집배원이 되었다나. 이 고기의 정확한 이름을 모르고 있다가 명정구박사의 책을 보고 이 물고기의 공식 명칭이 황해 볼락임을 알았다. 황해 볼락은 체구가 작지만, 입질이 맹렬하고 자기 체구만한 미끼를 물고 늘어지기도 한다. 뼈가 억세고 등지느러미가 날카로워 낚시를 하다가 찔리기라도 하면 상당한 고통을 준다.

때문에 낚시꾼들에게 환영받지 못하지만, 의외로 살은 담백하고 매운탕으로 끓이면 상당히 맛있다. 다만 성체가 되어도 20센티를 넘지 못하니 낚시 대상으로는 적절하지 못하다. 이 물고기의 영어 명칭은 Korea rockfish로, 코리아가 들어간 바다 물고기로는 거의 유일한 녀석이 아닌가 한다.

   
▲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황해볼락.(사진제공:어부지리바다낚시, 민평기)

부서도 그렇다. 최근 서해안에서 보구치(백조기) 낚시를 할 때 부서가 많이 잡힌다고 해서 부서를 잡으러 가기로 했다. 부서는 부세, 수조기로도 부른다고 한다. 수조기와 부서는 다른 물고기라고도 한다. 어느 것이 정식 명칭일까?

이름이 무엇이건 간에 보구치 낚시를 할 때 아주 가끔 잡히는 부서는 보구치와는 차원이 다른 물고기다. 크기도 물론 보구치보다 훨씬 대형종이고 그 맛도 보구치와 견줄 바가 아니다. 보구치는 백조기라고도 부르며 6월부터 9월까지 서, 남해안에서 잡히는 어종으로 마릿수 조과를 올릴 수 있고, 또 낚시 방법이 쉬워 생활 낚시 대상어로 자리 잡은 지 꽤 오래되었다.

8월 6일 10물, 이맘 때 할 수 있는 낚시는 갈치낚시나 한치낚시, 문어낚시 등등이겠으나 전 주에 거제 남단으로 한치 낚시를 갔다가 참패한 이후(한치 두 마리, 오징어 7마리가 밤새도록 낚시한 총 조과였다), 절치부심 탐색을 하고 있던 중, 홍원항에서 출조하는 배가 부서를 마릿수로 낚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다. 더위가 연일 맹위를 떨치며 최고 기온을 갈아치우는 와중에 충남 서천 홍원항으로 차를 몰았다.

아침 6시 홍원항 북쪽 방파제(요포항)에서 출발하는 승리호를 탔다. 10여 분쯤 나갔을까? 벌서 채비를 내리란다. 보구치낚시 채비는 참돔대나 광어대를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봉돌은 보통 40호를 단다. 시중에 파는 우럭 편대채비를 달고 갯지렁이를 달아 내리면 된다. 바닥을 확인하니 뻘이다. 채비를 내리자마자 ‘와르륵’ 하는 입질에 올려보면 미끼만 따먹고 간다.

필히 이렇게 성가시게 하는 녀석은 보리멸이다. 보리멸은 민물고기 모래무지와 비슷하게 생긴 녀석으로 모래사장이나 뻘 바닥에 사는데 입이 작아 큰 바늘을 달 경우 미끼만 따먹고 도망가기 일쑤다. 몇 번 그렇게 하다가 좀 큰 '와다닥' 하는 입질이 있어 채어보니 보구치 두 마리가 쌍걸이로 달렸다.

   
▲ 요포항 승리호, 백조기와 부서, 주꾸미, 참돔과 우럭 등을 잡는다.

보구치는 잘 잡히면 하루 100마리도 거뜬하게 잡아낼 수 있는 어종이다. 민어도 그렇지만 이 녀석도 잡혀 올라오면 '뽁뽁', '꾸룩, 꾸룩' 하는 소리를 낸다. 보구치에겐 미안하지만 이 녀석은 우선 크기도 작고, 회로 먹기에는 맛이 없고, 구이나 조림으로는 적절한데 너무 많이 잡으면 손질하기도 힘들다. 때문에 보구치 낚시는 한 해 한두 번 한창 더울 때 하는 이열치열의 낚시다.

하지만 모든 낚시가 그렇듯이 어떤 어종이건 잡히면 재미있다. 금방 대 여섯 마리를 잡아낸다. 맛이 좀 덜해서 그렇지 보구치는 손맛은 좋다. 느닷없이 달려들어 ‘와다닥’ 미끼를 물고 늘어지는 데 이 때 챔질을 가볍지만 확실하게 해주어야 놓칠 확률이 적어진다. 생김새는 조기와 흡사한데 체색이 온통 희다. 그래서 백조기라고도 부른다.

몇 마리 올라왔지만 선장은 인근으로 포인트를 옮긴다. 오늘의 대상어 부서를 잡기 위해서다.부서는 뻘 바닥에 서식하지 않고 여 바닥에 서식한다고 한다. 여는 돌이나 자갈, 바위로 형성된 지형을 말한다. 당연히 채비걸림이 심하고 봉돌이 바닥에 닿는지, 입질을 하는지에 대한 섬세한 파악이 필요하다. 한 동안 낚시를 하지만 전혀 입질이 없다. 물이 가지 않는 것이다. 물이 가지 않는다는 것은 조류의 흐름이 없다는 뜻이다. 뜨거운 햇볕에 바다가 이글거리는 듯하다. 인근으로 가면 백조기는 마릿수로 올라오겠지만 그래도 부서를 잡기 위해서 선장도 낚시꾼도 인내한다.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자 선장은 물이 갈 때 다시 오자며 포인트를 옮긴다.

다시 보구치가 올라오기 시작한다. 바늘 두 개를 다니 쌍걸이 하는 것은 좋은데 아랫 바늘에 잡히는 녀석은 씨알이 잘기도 하고 보리멸의 성화도 있고 해서 아예 아래 바늘을 달지 않고 외바늘 채비로 한다. 입질이 오면 순간적으로 채는 연습을 해 본다. 보구치 개체가 많고 물이 잘 갈 땐 그냥 미끼를 물고 늘어지지만, 물이 가지 않을 때는 섬세한 낚시를 해야 한다. 예민한 초릿대의 낚싯대로 입질 하는 순간을 잘 포착하여 정확히 챔질을 해야 하는 것이다. 옆에서 낚시하는 꾼이 이게 뭐냐 하더니 복어 한 마리를 올린다. 복어는 뱃전에 올라와서는 '뽀각뽀각' 소리를 내며 배를 부풀린다.

   
▲ 공포의 대상어, 복어

잘 알다시피 복어를 그냥 먹으면, '죽는다'. 하지만 복어는 비싼, 그러면서도 맛있는 생선이다. 그래서 복어를 잡으면 꾼들은 갈등하게 마련이다. 이걸 가져가서 피 빼고, 내장 빼고 한 번 먹어 봐, 하다가, 그러다가 다시 낚시 못 하지, 하면서 대부분 방생한다. 이걸 잡은 꾼도 잠시 고민하는 듯 하다가 기념 촬영이 끝나고 바다로 다시 돌려보냈다.

바다 수온이 높은지 해파리가 많이 떠다닌다. 몇 해 전에는 대형의 노무라입깃 해파리가 서해 바다에 엄청 출몰했는데 올해는 이름을 알 수 없는 소형 종이 많이 보인다.

   
▲ 비교적 작은 해파리. 중앙에 네 개의 원이 꽃잎처럼 선명하게 보인다. 무슨 해파리일까?

쓸 데 없는 녀석들이 왜 저렇게 많이 보일까, 하고 생각하다가 그 쓸 데란 인간의 편의에 의한 쓸 데라는 생각을 한다. 저 해파리도 자연 생태의 일부분이고 보면 분명 뭔가 생의 필연성이 있을 것이다. 그런 생각을 하는 것은 고기의 입질이 뜸하기 때문이다. 배 주위에는 개인 보우팅 보트들이 많이 보인다. 연안에서 가깝다보니 상업적 낚싯배를 이용하지 않고 개인 소유 보트로 낚시를 즐기는 것이다.

최근 저런 소형 보트를 이용한 낚시꾼들이 상당히 늘어났다. 차량에 싣고 다니며 바람을 채워 넣는 보트도 있고, 차 뒤에 견인하여 다니는 제법 격식을 갖춘 보트들도 있다. 일반 낚싯배보다 안전에 취약하겠지만, 나름대로의 재미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늘도 없는 땡볕에 저 좁은 보트에서 낚시를 하는 것은 이만저만한 정성이 아니면 감당하기 힘든 일이다. 그에 비하면 내가 탄 배는 항공모함이나 다름없다, 그런 생각을 하는 것도 입질이 뜸한 탓이다. 

   
▲ 소형 고무 보트. 귀밑에 멀미약을 붙인 것이 보인다. 멀미를 참아가면서 저 정성이다.

선장은 다시 포인트를 옮긴다. 물이 좀 가기 시작하니 다시 부서 포인트로 옮기는 것이라고 한다. 그토록 기다리던 부서 한 마리가 복어를 잡은 그 낚시꾼에게 올라온다. 그러고는 입질이 없다. 부서 한 마리 잡기가 민어 한 마리 잡기보다 힘들다는 생각을 한다.

이른 점심을 먹는다. 점심을 먹으면서 생각한다. 날물에도 부서가 잡히지 않았으니 만약 고기가 있다면 들물에는 잡힐 것이다, 하고.

바닥이 험하다. 물이 흐르기 시작하니 봉돌이 굴러다니기 시작한다. 낚싯대를 통해 전해지는 바닥의 지형에 온 몸의 감각을 집중한다. 돌, 돌, 돌, 돌 하다가 미세한 떨림이 있으면 그게 고기의 입질이다. 그렇지만 쉽게 입질을 하지 않는다. 올려보면 미끼를 따 먹고 가고 없다. 너무 바닥에 깔고 낚시를 하는 것이다. 어렵지만 바닥에서 아주 조금만 들고 낚시를 시도해본다. 그러다가 '와장창'하는 입질이 온다.

상당히 힘을 쓴다. 우럭 입질과는 달리 소형 농어나 참돔 같은 입질이다. 초릿대를 처박기까지 한다. 올려보니 상당히 큰 보구치다. 그제서야 깨닫는다. 보구치 손맛이 앙증맞게 탈탈거린 것은 그 씨알이 작았기 때문인 것을. 여밭에서 올라온 큰 녀석은 그 손맛이 아주 좋았다. 그 때다. 제법 큰 씨알의 부세가 올라온 것은. 복어를 잡았던 꾼이 배에서 처음으로 부서를 한 마리 잡았다.

 선장은 이제부터 연이어 올라올 거라고 한다. 하지만 상당한 시간 동안 부서는 올라오지 않았다. 그러다가 오후 두 시쯤.큰 입질이 온다. 농어나 민어같은 입질이다. 신중히 드랙을 조절하면서 끌어올린다. 상당히 힘을 쓴다. 처음 잡는 것이니 이것을 놓치면 안 된다. 드랙을 더 풀어 놓는다. 몇 번 드랙을 풀고 나가드니 드디어 해면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5짜에 육박하는 부서다. 우하하. 드디어 한 마리 했다.
 
   
▲ 5짜에 가까운 수조기. 선장에게 부탁하여 찍은 사진. 선장에게 좋은 사진이란 물고기만 크게 나오는 사진이다.

그때부터 소나기 입질은 아니지만 제법 많은 입질을 받았다. 몇 마리는 끌어 올리다가 놓치고, 입질 받은 직후 놓치고 하였지만 여러 마리를 끌어 올렸다. 대부분 보구치였지만 보구치 손맛도 상당히 좋았다. 부서는 총 다섯 마리. 여밭에서의 보구치는 개체 수는 적지만 씨알은 대부분 준수했다. 앞으로 보구치 낚시도 두 가지 패턴으로 바뀌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한 패턴은 지금 방식대로 뻘 밭에서 하는 마릿수 보구치 낚시. 이 패턴은 주로 조금 물때 주변에서 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 한 패턴은 사리 물때 여 밭에서 큰 씨알을 노리는 부서 및 보구치 낚시.

이 낚시는 조금의 전문성이 필요하다. 앞으로 꾼들이 정립하겠지만, 서해 여름의 수조기(부서)낚시에서 터득한 것은, 좀 감도가 좋은 낚싯대, 1.5호에서 2호 정도의 합사, 20호 바늘 정도의 외바늘 채비(우럭 편대 채비에서 밑 바늘을 자르고 쓰면 됨),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미끼인데, 청갯지렁이를 작은 것은 두 세 마리 통으로 꿸 것 등이다(미끼를 충분히 준비해야 한다). 그 동안의 조황 정보를 보면 아마도 4물에서 8물 정도가 최적의 물때가 아닌가 한다. 물론 승리호 선장에 의하면 서천 앞바다에서 수조기가 이렇게 잡힌 것은 올해가 처음이라 하므로 앞으로도 지속될 지는 알 수 없다.

불확실하지만 그 동안 사리 무렵에는 여밭에서 수조기를 대상어로 삼고 낚시를 시도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조기 낚시가 유행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포인트가 더 발굴되고 꾼들이 더 시도하면 서해바다의 새로운 낚시 장르로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생각을 해 본다. 남해에서처럼 밤낚시를 시도해도 좋을 듯하다.   

   
▲ 백조기와 수조기의 비교. 아래가 수조기.

   
▲ 이날의 조과. 쿨러 아래는 얼음이라 그다지 많은 양은 아니다.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가 둘 있다. 하나는 손맛이다. 수조기의 손맛은 물론 민어와 비교할 순 없지만 그와 상당히 흡사했다. 리틀 민어 낚시라 하면 되겠다. 또 하나는 입맛이다. 수조기는 회 맛이 상당히 좋다. 기름진 회를 좋아하는 꾼이라면 가히 반할만한 회 맛이다. 회 맛만 가지고 말한다면 민어를 훨씬 능가한다. 구이나 매운탕도 일품이다.

   
▲ 낮에 서해에서 놀다가 밤에 식탁에 오른 수조기. 수조기 회는 상당히 기름지다. 식감도 괜찮다.

이날 선장은 꽤 늦은 시간까지 한 마리의 수조기라도 더 잡아주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이날 조과는 다섯 마리의 수조기, 씨알 좋은 20여 마리의 백조기.

부서를 잡으러 가야 되겠다고 마음먹은 것은 사실 보리굴비 때문이었다. 요즘 인사동 등지의 한정식집 등에서 보리굴비를 메뉴로 많이 내고 있고, 또 마트 같은 데서도 보리굴비를 많이 파는데, 먹어보았더니 상당히 맛있었다. 참조기를 원재료로 한 것은 아니고 중국산 부서를 수입해서 영광 등지에서 참조기 건조 방식대로 보리굴비로 가공해서 파는 것인데, 어릴 때 먹었던 그 굴비 맛이 나는 것이었다(진짜 참조기 보리 굴비는 워낙 고가高價다).

90년대 후반부터 중국은 부서 양식에 성공해서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이고, 그 양식 부서가 우리의 보리굴비로 둔갑한 것인데, 어쨌거나 자연산 부서를 잡아서 맛을 봐야겠다고 생각하고 부서를 잡으러 갔고, 잡았던 것인데, 내가 잡은 것은 부서인지 수조기인지 모르겠다.

명정구박사의 <우리바다 어류도감>에서 찾아봤더니 부세, 보구치, 참조기를 다른 종으로 분명 구분해 놓기는 했다. 우리가 가장 좋아하는 참조기는 영어로는 Small yellow croaker다. 보구치(백조기)는 Croaker, 부서(부세)는 Large yellow croaker, 수조기는 Yellow drum이었다. 이에 따르면 부서와 수조기는 다른 물고기인데, 또 다른 자료에서는 수조기를 부서 또는 부세라고도 한다, 라고도 되어 있다.
내가 잡은 것이 수조기일까, 부서일까? /하응백 휴먼앤북스 대표·문학박사  
[하응백]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