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중국이 유엔 안보리에서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때리기에 나서고 있다. 유엔 안보리 규탄성명에도 제동이 걸리면서 대북 공조체계에 구멍이 뚫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지난 3일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이후 안보리가 추진해온 규탄성명 채택 추진 절차가 중국의 제동으로 불발됐다. 중국이 성명에 '사드 반대' 문구를 넣자고 요구했지만 미국이 이를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한국 외교부 관계자 등의 말을 인용해 9일(현지시간) 안보리가 '침묵 절차(Silence Procedure)'를 통해 언론성명 채택을 시도했지만, 이의를 제기한 이사국이 나타나면서 실패했다고 전한 바 있다.

지난 4일부터 계속 연장되는 방식으로 이어져온 '침묵 절차'가 이날을 끝으로 끝날 전망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안보리가 단합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다는 입장"이라면서 "일희일비하지 않고 대북제재 결의안 2270호가 (잘 이행)되도록 계속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성명이 불발된 배경에는 중국 측의 '사드 배치' 명시 주장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도발을 이유로 한반도에 사드를 배치해서는 안된다는 내용을 성명에 넣자고 요구했다는 것이다.

미국이 중국의 이 같은 요구를 수용하지 않으면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따른 안보리 성명도 채택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중국과 미국은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의 일원이다. 안보리가 의장성명이나 언론성명을 채택하기 위해서는 15개 이사국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

그동안 안보리가 이번 성명 채택을 위해 '침묵 절차'를 이어오는 동안  중국 측은 "본부 훈령이 안왔다. 검토 중이다. 시한 맞추기 어렵다"면서 수차례 연장시킨 것으로 전해졌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