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문상진 기자]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이 24일 지난 2007년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이었던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유엔 북한인권 결의 기권 과정과 관련해 "(문 전 대표가) 남북정상회담 후에도 안보 관련 일련의 주요 후속 조치에 대한 회의를 실질적으로 관장했다"고 밝혔다.
송 전 장관은 이날 총장으로 재직 중인 북한대학원대를 통해 배포한 글에서, 자신의 회고록에 담긴 북한인권 결의안 기권 경위에 대한 문 전 대표의 전날 반박과 관련해 이같이 입장을 밝혔다.
2007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10월 2∼4일) 추진위원장을 맡았던 문 전 대표가 정상회담 이후에도 안보 관련 주요 후속조치에 깊숙이 관여했고, 이런 맥락 속에서 그해 11월 북한인권 결의안 관련 논의에도 개입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송 전 장관은 백종천 당시 안보실장이 주재한 북한인권 결의안 관련 회의를 문재인 전 대표가 주재한 것처럼 자신이 회고록에 기술해 '중대한 기억의 착오'를 범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그는 "당시 회의에서 백종천 안보실장은 회의 진행을 맡았고 의견조정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문재인 비서실장이 주요 발언권을 행사했다"고 설명했다.
송 전 장관은 아울러 "문 전 대표가 (기권) 결정에 이르기까지 본인이 취한 조치에 대한 자신의 기억과 기록을 재차 확인해 보는 것이 좋을 듯 하다"고도 지적했다.
그는 "문 전 대표가 밝힌 대로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 당시 관계자들로 하여금 11월 20일(송 전 장관이 주장하는 기권 결정 시점) 오후부터 밤까지 서울과 싱가포르에서 있었던 논의 경과와 발언들에 대한 기억과 기록을 다시 검토하게 하는 것이 적절하다"며 "그 결과에 기초하여 자신의 입장을 정리하는 것이 정쟁의 종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 전 장관은 최근 발간한 회고록 '빙하는 움직인다'에서 2007년 11월 15일 안보정책조정회의, 16일 노무현 대통령 주재 회의에서 북한인권 결의안 찬반에 결론을 내지 못한 뒤 북한 입장을 확인하고서 노무현 당시 대통령이 싱가포르 '아세안+3' 회의에 참석 중이던 11월 20일에 기권 방침을 결정했다고 썼다.
송 전 장관은 11월 16일에 정부가 이미 결의 기권을 결정했다는 문 전 대표 측 주장에 대해서도 "사안의 주무장관이었던 저자(본인)가 찬성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었고, 대통령이 저자의 11월 16일 자 (찬성) 호소 서한을 읽고 다시 논의해 보라고 지시한 것은, 최종 결정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그는 회고록을 쓰기 위해 "개인적 기록, 국내외 인사들의 기록과 회고, 개별 인터뷰, 그 외 공개된 자료를 교차 확인했다"고도 설명했다.
아울러 회고록이 배포된 직후 문 전 대표 측 관계자들에게 북한인권 결의 부분과 관련한 연락을 두 차례 받았다며 "양측 모두 국가를 위한 충정에서 나온 것이니 역사에 맡기고 미래로 가야 할 것"이라는 취지의 답을 했다고 소개했다.
송 전 장관은 회고록 논란에 대해 "과거에 대한 소모적 정쟁으로 미래에 대한 토론이 함몰되지 않기를 바란다"며 "정쟁은 조속히 종결짓고, 남북관계와 대북 정책을 진지하게 논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김대중·노무현 정부 10년의 대북정책은 그 방향과 정책구도에서 맞았으나 집행 과정에서 정권의 시한에 쫓겨 서두른 점이 있었다"면서 "반면 지난 9년간(이명박·박근혜 정부)은 대북정책의 구도마저 제대로 잡히지 않았다"고 견해를 말했다.
[미디어펜=문상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