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여파로 원금 손실 가능성은 있지만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펀드나 주가연계신탁(ELT) 상품 등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은행권에서 신규 판매한 원금 미보장형 금융투자상품은 모두 18조2,106억원에 달했다.

특히 전체 원금 미보장형 금융투자상품 가운데 절반 가량(48.3%)은 고객 본인의 투자성향보다 위험도가 높았다.

은행권은 위험을 감수하고 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가 증가했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금감원은 은행이 판매실적을 올리기 위해 투자자의 투자성향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은 채 '위험등급 초과가입 확인서'만 형식적으로 받았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자신의 투자성향 보다 투자위험이 높은 상품의 판매비중이 높다는 것은 현행 투자자정보 확인서 설문항목 등이 투자자성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일 수 있다"며 "투자손실이 발생할 경우 불완전판매 여부를 둘러싼 분쟁이 급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대부분의 은행이 투자자성향을 5단계로 분류하고 상품별 투자위험등급도 1등급(매우 높은 위험)에서 5등급(매우 낮은 위험)까지 5단계로 구분하고 있으나, 일부 은행은 6단계 분류나 여탸 은행과 반대로 분류(저위험 1등급 → 고위험 6등급)하고 있어 혼란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금감원은 고위험상품 판매비율 등이 지나치게 높은 은행에 대해서는 상시감시, 미스테리쇼핑, 현장검사 등을 강화해 불완전판매에 대한 분쟁 가능성을 차단할 방침"이라며 "은행별로 사용 중인 투자자정보 확인서 등을 살펴본 후 불합리한 부분도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금융투자상품에 투자할 때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고, 최악의 경우 원금을 초과하는 피해를 볼 수도 있다"며 "자신의 투자성향, 재무상황 등을 고려해 알맞은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다음은 금감원이 밝힌 '금융투자 상품 구입 체크 포인트'다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는 금융투자상품에 투자해도 되는 자금인지 확인한다. 학자금·전세금·결혼자금·노후자금 등 꼭 필요한 자금이라면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

▲자신의 투자성향(공격투자형·적극투자형·위험중립형·안정추구형·안정형 등)을 확인한다.

▲자신의 투자성향에 적합한 금융투자상품인지 확인한다.

▲특히 고위험 금융투자상품인 경우 고수익에만 현혹되지 말고 어떤 경우에 투자손실이 발생하는지 꼼꼼히 확인한다. 금융회사 판매직원이나 제3자의 말만 듣고 성급하게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은 아닌지 따져본다.

▲투자하고자 하는 금융투자상품의 최대손실 가능규모와 최대손실을 감내하고도 사업, 생활에 지장이 없는지 확인한다. 감내할 수 없는 수준인 경우 투자규모를 줄이거나 위험도가 낮은 다른 상품을 찾아본다.

▲자금의 예상 사용시기와 상품의 만기가 일치하는지 또는 중도환매·해지·매도 등을 통해 중도 인출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거래수수료·운용보수·판매보수 등의 부과기준을 확인한다.

▲투자계약이 자동연장되거나 불리하게 변경될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한다.[미디어펜=장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