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네이버 정치편향 심각...새누리당에 불리한 편집" 선관위에 유권해석 요청

 
새누리당은 28일 인터넷 포털 네이버의 정치편향이 심각하다며, 선관위에 선거법 위반여부 유권해석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새누리당 전하진 디지털정당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인터넷 포털 점유율 80%에 달하는 네이버가 제공하고 있는 모바일뉴스서비스의 정치적 편향성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새누리당 여의도연구원이 지난 3월 3~12일까지 10일에 걸쳐 모바일뉴스를 제공하는 네이버(2840개), 다음(2521개), 구글(4589개)의 기사를 분석한 결과, 네이버는 통합신당 관련 기사를 강조해 게재하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여의도연구원에 따르면 이 기간 네이버는 통합신당 관련 기사를 56개(44.44%), 새누리당 관련 기사는 17개(13.49%)를 게재했다. 중립적 기사는 53개(42.06%)였다. 
 
다음의 경우 통합신당 관련 기사 53개(41.41%), 새누리당 관련 기사 48개(37.5%), 중립적 기사 27개(21.09%)를 게재한 것으로 분석했다.
 
전 위원장은 특히 "새누리당 주요 경선후보인 남경필, 정몽준 의원의 관련기사는 아예 없거나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통합신당 경기지사 후보인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의 기사는 모두 8개가 메인뉴스에 걸렸으나, 남경필 의원은 총 2개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기사제목 편집에 있어서도 새누리당에는 불리하게, 통합신당에는 유리하게 게재했다는 게 전 위원장의 설명이다.
 
그는 "지난 3일자 '정치권 빅뱅…지방선거 양자대결'이란 기사는 '민주·안철수 3지대 창당 선언…정치권 빅뱅'으로 바꿔 메인뉴스에 올리거나, 4일자 '서울, 與 정몽준·김황식 흥행몰이…안개 걷힌 野 박원순과 빅매치'란 기사는 '지방선거 대진표 요동…서울 안개 걷힌 빅매치'로 바뀌었다"고 지적했다.
 
새누리당은 '공직선거법' 위반여부 유권해석을 선관위에 요청한다는 방침이다. 
 
전 위원장은 "새누리당은 네이버가 사실상 이번 6·4지방선거 등 현실정치에 깊숙이 개입하고 있는데다 통합신당에 유리한 뉴스서비스를 하고 있는 것에 대해 공직선거법 위반여부 유권해석을 선관위에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