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해정 기자]대우조선해양에 대한 금융당국의 추가지원 방안이 발표되면서 그 세부내용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23일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대우조선해양에 2조9000억원을 추가 지원한다고 밝혔다.
대우조선은 2015년 10월 1조8500억 원의 자구계획을 수립했으나 2016년부터 수주급감, 인도리스크 증가 등 업황 부진이 심화돼 경영난이 지속 중인 상태다.
이에 따라 대우조선은 위험요인을 다시 점검하고 2016년 6월 자구계획을 추가해 총 5조3000억 원 규모의 강도 높은 자구 계획을 수립했다.
두 차례에 걸친 정상화 대책에도 대우조선은 조선 시황 부진 심화 및 외부여건 악화 누적으로 경영한계에 직면했다.
국책은행 지원과 회사의 자구계획에도 불구하고 시황부진과 유동성 조달 차질 등으로 경영여건 전반이 악화됐다. 당면 위험요인으로 대우조선은 재무구조, 유동성, 수주 등 영업을 요인으로 꼽았다.
금융위원회 측은 당장 다음 달 유동성 부족이 현재화 돼 별도의 대응이 없다면 대우조선은 부도가 발생하고 기업도산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 경우 대우조선 도산시, 조선산업 뿐만 아니라 채권회수나 실물경제 등 국가 경제 전반에 막대한 손실이 촉발될 우려가 있다.
대우조선은 이에 대해 구조조정 대응 방안을 추진했다.
우선 경영악재가 누적되고 조선업 불황이 지속되는 현시점에서 최악의 상황을 반영한 보수적 가정하에 대응을 추진할 예정이다.
대우조선은 기존 방안을 모든 이해관계자의 손실분담을 전제로 하는 "선 근원적 채무조정과 후 유동성 부족 자금지원" 방식으로 전환할 것으로 밝혔다.
또한 이해관계자 간 자율적인 채무조정 합의가 불발될 경우, 새로운 기업회생 시스템인 P-Plan을 통한 기업회생을 추진할 계획이다.
2015년 10월 지원부터 이해관계인 손실분담을 전제로 구조조정을 추진하지 않고 현재 구조조정 방식을 바꾸는 이유는 대우조선의 부실 문제가 2015년 7월 빅 배스(Big Bath)를 선언하며 급작스럽게 노출됐기 때문이다.
당시 금융시장은 예상치 못한 악재에 충격을 받았고 시중 은행들은 조선업 전반에 대한 여신을 중단, 기존 여신의 회수 움직임이 확산됐다.
국책은행 지원만으로 한계가 있고 시중은행도 그동안 구조조정으로 여신 축소 및 충당금 적립 등 충격을 흡수할 기반을 마련한 만큼 모든 이해관계인 손실분담 하의 구조조정 방식으로 전환하게 됐다.
정상화 방안 이행 시 대우조선은 부채비율이 대폭 하락하고 차입금을 2조원 내외로 축소하는 등 재무·수익 구조의 획기적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임종룡 금융위원회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나라 조선산업만큼 인프라 등이 잘돼있는 나라는 세계 어디에도 없고 이 경쟁력을 살리고자 하는 것이 우리의 시각”이라고 밝혔다.
임 위원장은 "대우조선이 안고 가야 하는 책임도 있지만 대우조선의 기술은 살려 하나의 중요한 경쟁력으로 활용해 나가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앞으로도 구조조정 등을 하면서 험난한 과정이 필요하고 절차들이 있다"면서 "시중은행, 노조, 회사의 경영진 등 이해관계자들이 국민들께 허락받을 수 있는 처절한 노력과 고통이 있지 않으면 결코 성립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해주시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해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