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근무제 은행권 전반 확산…실효성은 의문
[미디어펜=백지현 기자]신한은행이 은행권 최초로 도입한 유연근무제가 은행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지만 얼마나 실효성을 거둘지는 의문이라는 지적이 거세다.

   
▲ 신한은행이 은행권 최초로 도입한 유연근무제가 은행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지만 얼마나 실효성을 거둘지는 의문이라는 지적이 거세다./미디어펜


은행 부서마다 업무환경이 달라 사실상 유연근무제의 혜택을 보는 직원이 한정되면서 은행 내부에서조차  “‘역차별’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한다”는 불만섞인 목소리마저 나온다.

27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이 지난해 7월 은행권에서는 처음으로 ‘스마트근무제’를 도입한 이래 다른 시중은행에서도 유연근무제를 운영 중이거나 시행을 검토하고 있다.

신한은행이 도입한 스마트근무제는 스마트 워킹센터 근무‧재택근무‧자율출퇴근제로 구성돼 있다. 직원들이 업무시간이나 업무장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골자다.

직원들의 가장 큰 호응을 얻은 자율출퇴근제는 영업점 직원의 경우, 오전 9시부터 11시까지 30분 단위로 출근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본부 직원은 휴식시간을 포함해 하루 9시간만 근무하면 된다. 스마트근무제 시행 100일간 재택근무 241건, 스타트워킹센터 1655건에 이를 정도로 직원들의 호응도 긍정적이다.

다른 시중은행들 역시 유연근무제를 속속 도입 중이다. IBK기업은행은 지난해부터 일부 직원들을 대상으로 유연근무제를 시범 도입했고, 우리은행 역시 올해 상반기 중으로 유연근무제를 시범 운영해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하지만 은행 내부에서는 유연근무제를 바라보는 냉랭한 시각도 감지된다. 가정과 일을 병행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만들기 위한 도입 취지는 두 팔 벌려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정부의 ‘눈치보기’에 급급해 도입을 서두르다 보니 은행업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일과 가정을 병행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한 당초 도입 취지에 반대할 직원은 없다”면서도 “그러나 정부의 밀어붙이기식 추진에 은행이 서둘러 도입하면서 여러 부작용이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부서마다 업무환경이 다른 차별성을 고려하지 않고 도입하다 보니, 사실상 유연근무제 혜택을 보는 직원이 한정돼 직원 간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것. 혜택을 보지 못하는 직원은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또 다른 관계자는 “업무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유연근무제 도입이 얼마나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며  “당초 도입 취지에 걸맞는 스마트한 유연근무제 정착을 위해서 서둘러 도입을 추진할 것이 아니라, 직원 모두가 실질적인 혜택을 볼 수 있는 방향으로의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