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대책·대출금리 상승 영향…부동산 경기 관건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향후 가계대출은 정부대책과 대출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지난해에 비해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봄 이사철 이후 주택경기가 개선될 경우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폭은 크지 않을 가능성이 점쳐진다.

   
▲ 금융권 가계대출 증감./한국은행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2017년 4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은행 및 비은행의 가계대출은 올해들어 11조원이 증가했다.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증가규모는 14조1000억원 축소됐다.

은행의 가계대출(한국주택금융공사 정책모기지론 양도분 포함)은 올해 1~3월 중 5조9000억원 증가해 전년 동기 증가액(9조9000억원)에 비해 4조원 감소했다. 반면 비은행 가계대출은 올해 1~2월 중 5조1000억원이 증가해 전년 동기 증가액(4조2000억원)에 비해 9000억원 증가했다.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 요인으로 주택가격 상승세 둔화와 정부의 억제정책, 대출금리 상승 등이라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주택가격 상승률이 하락하는 가운데 주택거래가 전분기에 비해 감소하면서 개별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둔화됐다. 주택가격 상승률은 2015년 11월 4.4%에서 지난해 5월 3.0%, 지난해 11월 1.5%, 올해 3월 1.2%로 둔화세가 지속되고 있다.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도 점차 떨어지고 있다. 주택가격전망 소비자심리지수(CSI)는 지난해 10월 114에서 올해 3월 99로 하락했다. 여기다 1~2월 비수기인 계절적 요인까지 겹치면서 기대감을 낮췄다.

정부가 가계대출 증가세 억제를 위해 내놓은 관련 대책도 영향을 끼쳤다. 지난해 상반기 대출 심사를 강화하고, 신규 주담대 대출시 분할상환 대출을 원칙을 골자로 하는 은행권 ‘여신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이 도입됐다. 하반기에는 8.25 가계부채 대책과 11.3 부동산대책이 시행됐다.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부담 증가도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하반기 글로벌 장기시장금리 상승이 우리나라 장기시장금리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은행의 주담대 금리는 신규취급액 기준 지난해 7월 2.66%에서 올해 2월 3.19%로 0.53%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비은행의 경우, 가계대출 증가세가 지속됐다. 금리상 이점에 따른 비은행의 수신호조 지속, 정부의 가계대출 증가세 관리 대책에 따른 대출수요 이전, 상호금융권 ‘맞춤형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시행을 앞둔 선수요 등에 영향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가계대출 증가세는 정부 대책과 대출금리 추가 상승 정도, 부동산경기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은 “앞으로 가계대출은 정부의 가계대출 관련 대책과 대출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지난해에 비해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봄 이사철 이후 주택경기가 개선될 경우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폭은 크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