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디젤차 대신 수소차·전기차 육성 정책 잇따라 강조
차세대 수소차 출시 앞당긴 현대차, 수입차 친환경차 비중도 늘어
[미디어펜=김태우 기자]문재인 정부가 친환경자동차 육성 정책을 본격화함에 따라 국내 완성차 업계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이미 마련된 친환경차 미래 계획에 맞춰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현대·기아자동차와 달리 나머지 업체들은 특별한 대책을 마련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 문재인 정부가 친환경자동차 육성 정책을 본격화함에 따라 국내 자동차업계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문재인 정부는 최근 발표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통해 전기차·수소차 보급 확대 및 자율주행차 육성, 친환경차 충전 인프라 확충과 안전기준 마련 등을 골자로 하는 신산업 육성정책을 재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당선 이전부터 친환경 정책을 강조해 왔다. 자동차 업계와 관련해서도 상대적으로 유해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디젤차 운행을 오는 2030년까지 전면중단하고, 연료인 경유가격도 점진적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디젤차 대신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지원한다. 오는 9월부터 전기차와 수소차의 고속도로 통행료를 50% 인하하는 것이 단적인 예다.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에 현대차의 경우 유연하게 대처하고 있다. 현대차는 최근 차세대 수소연료전지전기차(FCEV)를 다음달 공개키로 결정했다. 당초 현대차는 오는 2018년에나 FCEV를 공개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시기를 앞당긴 것이다.

아울러 지난 17일부터는 그동안 서울과 제주 지역에서만 운영됐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차량을 10대에서 총 60대까지 확대해 전국적으로 시행범위를 넓혔다. 이 서비스는 고객 요청시 해당 장소로 방문해 충전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국내 업계 최초로 진행 중이다.

이런 서비스 지원을 통해 현대차는 전기차의 대중화에 노력중이며 내년 상반기까지 40대의 충전 서비스 차량을 추가해 총 100대를 전국에서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이 밖에도 현대·기아차는 향후 2020년까지 친환경차 라인업을 28차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기존 준중형차 위주의 전기차와 함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전기차를 도입해 친환경차의 새로운 시장구축과 정부의 친환경차 육성 정책에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반면 나머지 국내 완성차 브랜드는 정부의 정책에 민첩한 대응에 힘들어하는 모습이다.

르노삼성과 쌍용차, 한국지엠의 경우 외국계 모회사의 정책방향성에 따라 움직이다 보니 현 정부의 친환경차 육성정책에 특별한 대처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르노삼성과 한국지엠은 현재 출시된 친환경차량들을 통해 대응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쌍용차는 2020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티볼리 전기차만 바라보고 있다. 

   
▲ 25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는 최근 발표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통해 전기차·수소차 보급 확대 및 자율주행차 육성, 친환경차 충전 인프라 확충과 안전기준 마련 등을 골자로 하는 신산업 육성정책을 재강조했다./ 사진=미디어펜


르노삼성은 전기차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SM3 Z.E.의 배터리 용량을 늘린 모델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소형 전기차 트위지를 통해 새로운 시장 공략을 노리고 있다. 하지만 SM3 Z.E.의 모델 노후화에 따른 인기 반감과 전량 수입에 의존 중인 트위지 수급문제는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정부의 친환경차 육성정책과 디젤연료 규제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쌍용차는 2019년 개발이 완료될 티볼리 전기차만 바라보고 있다. 전 차종이 SUV라입업인 만큼 정부의 친환경정책에 빠른 대응을 해야 하지만 외국계 모기업에서 지원을 받는 입장에서 특별한 대책마련이 힘든 상황이다. 

다만 티볼리 전기차 출시 이후 개발이 완료된 전기구동시스템을 자사의 전 차종에 확대적용해 2030년까지 디젤차량 운행을 전면 중단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에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한국지엠도 상황은 비슷하다. 하이브리드 차량과 전기차를 모두 보유하고 있지만 특별한 대책마련이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1회 충전으로 300km 이상 운행이 가능한 볼트EV를 통해 시장에서 기술력은 입증했지만 GM본사로부터 지시가 없이 한국지엠만의 자구책을 마련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또 매년 적자를 거듭하고 부진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분야의 도전을 허가 받기 쉽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 한국지엠이 정부정책에 맞춰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큰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편 국내 자동차업계 판매량에서 친환경 차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높아지는 추세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등에 따르면 상반기 기준 국산 친환경차 판매량은 지난해 동기 대비 15.9% 늘어난 3만319대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차업계의 경우 2015년 4.0%에 불과했던 하이브리드 차량 점유율이 지난해 7.2%로 급등했고, 올 상반기에는 9.0%까지 치솟은 상태다. 반면 2015년 68.8%의 점유율을 보였던 디젤 차량 비중은 올 상반기 기준으로 50.1%까지 줄어들었다.

완성차업계 관계자는 “과거에 비해 업계 분위기가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 차량으로 기울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관련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서울이나 제주도 등 특정지역에 몰린 전기차 충전소 비중을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친환경차 이용에 따른 인센티브도 현재보다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